22개 경제개발기구(OECD) 가입국 국민의 문서해독능력 비교에서 우리나라의 실질 문맹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6일 발간한 ‘2004 한국 교육인적자원 지표’에서 우리나라 국민 중 ‘생활정보가 담긴 각종 문서에 매우 취약한’(1단계 문서해독수준) 사람 비율이 전체의 38%로, OECD 회원국 평균(22%)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특히 전 국민의 75% 이상이 새로운 직업에 필요한 정보나 기술을 배울 수 없을 정도로 일상문서 해독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대학을 졸업한 고학력자들의 문서독해 능력을 비교하는 OECD의 국제 성인문해조사 점수 역시 258.9점으로 조사대상인 22개국 중 꼴찌인 것으로 조사돼,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일상적인 문서를 겨우 해석해낼 수는 있지만 새로운 직업이나 기술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는 힘든(2단계)’ 사람도 전체 국민 중 37.8%나 됐으며 선진사회의 복잡한 일상에 대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문서독해 수준(3단계) 이상을 갖춘 사람이 21.9%에 불과했다. 이에 비해 전문적인 정보기술(IT) 등 첨단정보와 새로운 기술, 직업에 자유자재로 적응할 수 있는 고도의 문서독해 능력을 지난(4단계) 사람은 노르웨이(29.4%) 덴마크(25.4%) 핀란드 캐나다 (이상 25.1%) 미국(19%)에 비해 형편없이 낮은 2.4%로 나타났다.
OECD 국가 문서해독 능력 비교는 구직원서 봉급명세서 등 일상적인 문서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을 비교한 것으로, 각종 첨단정보가 일상화된 선진국 사회에서는 단순히 글씨해독 능력을 보여주는 문맹률보다 훨씬 더 실질적인 문맹률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