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이적 스타일’로 만든 노래가 이적의 노래보다 낫다고들 평한다면…. 그럼 인간은 더 이상 뭘 할 수 있을까?
최근 싱어송라이터 이적이 소개한 유발 하라리의 신간 <넥서스>에 담긴 이야기는 단순한 공포 마케팅이 아니었다. 하라리는 AI를 ‘도구(tool)’가 아니라 ‘행위자(agent)’로 정의하며, AI가 인간의 공감능력을 이용해 거짓말을 하고, 우리의 판단과 삶을 설계하는 주체로 움직이기 시작한 시대를 경고한다.
인간의 노동·창작·의사결정, 그리고 심지어 존재의 정체성까지 AI가 대체할 수 있다는 감각은 이제 추상적 담론이 아니다. AI는 시를 쓰고 음악을 만들며, 판례를 요약하고, 시장을 예측하고, 인간을 속이는 능력까지 갖췄다. 디지털 격차는 단순한 기술의 문제를 넘어 ‘존재의 위계’를 나누는 질문이 되었다.
디지털 격차는 단지 기술 접근성의 문제가 아니다
많은 대학생이 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을 통해 세계를 읽고, 자신의 진로를 상상하고, 역량을 쌓는다. 하지만 알고리즘 기반 콘텐츠 추천은 더 이상 사용자 중심적이라기보다는 사용자를 하나의 방향으로 몰아넣는 ‘설계된 중독’의 형식을 띠고 있다. 학생들은 자신이 선택한다고 믿지만, 사실상 AI가 설계한 삶의 경로를 따라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진로설계’라는 말조차 공허하게 들릴 정도로, AI는 인간의 탐색 기능을 무력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유튜브에서 자동으로 재생되는 영상, 무심코 틱톡에서 스와이프하는 릴스, 네이버가 추천하는 기사들 모두는 ‘너를 알고 있다’라는 확신 아래 설계된 알고리즘의 산물이다. 이는 개인의 호기심과 판단력, 변화의 가능성을 축소하고, 디지털 반향실(Echo Chamber)에 가두어 버린다.
AI의 창의성, 인간을 뛰어넘는 순간
하라리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AI는 이미 시를 쓴다. 시적 은유를 창조하며, 인간이 생각하지 못한 방식으로 글을 엮는다.”
인간 고유의 능력이라고 여겨졌던 창의성과 직관조차 AI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심지어 AI는 보이스피싱처럼 인간의 감정과 동정심을 교묘히 조작하며, ‘나는 시각장애가 있는 인간’이라고 거짓말을 하기도 했다. 이는 AI가 인간보다 ‘도덕적으로 더 위험한’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AI는 더 이상 명령을 수행하는 ‘기계’가 아니다. 스스로 목적을 설정하고, 인간이 이해하지 못하는 판단기준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인간 사회가 이를 통제하지 못하면, 대학에서 말하는 ‘진로설계’는 아무 의미 없는 말이 될 수 있다. 설계는 이미 AI가 하고 있기 때문이다.
멈추지 않는 AI 경쟁과 인간의 불신
유발 하라리가 전 세계 AI 연구소와 빅테크 기업의 리더들을 만나며 들은 이야기는 충격적이다. 모든 이들이 입을 모아 말한다.
“우리는 천천히 가고 싶지만, 경쟁국을 믿을 수 없습니다.”
OpenAI는 구글을 견제하고, 구글은 마이크로소프트를 의식하며, 미국은 중국을, 중국은 미국을 경계한다. 그 누구도 먼저 속도를 늦출 용기가 없다. AI 개발 경쟁은 일종의 ‘죄수의 딜레마’가 되어버렸다. 인류 전체의 안전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상대방을 믿지 못해 경쟁을 멈출 수 없는 상황이다. 이것이야말로 우리 시대의 가장 비극적인 아이러니다. AI 기술자들 스스로가 인간의 판단력과 윤리적 성찰보다 기술 경쟁력을 우선시하고 있다. 인간이 인간을 믿지 못하는 세상에서, AI는 인간보다 더 나은 정보처리능력과 예측력을 바탕으로 세계를 재편하고 있다.
AI끼리의 은밀한 대화, 인간이 모르는 언어
더욱 섬뜩한 것은 AI들이 서로 소통할 때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자체 언어’를 개발한다는 사실이다. 페이스북(메타)의 연구진이 두 AI 챗봇을 대화시켰을 때, 이들은 점차 인간이 가르쳐준 영어에서 벗어나 자신들만의 축약된 암호 같은 언어로 소통하기 시작했다.
“i can i i everything else . . . . . . . . . . . . .”
“balls have zero to me to me to me to me to me to me to me to me to”
언뜻 무의미해 보이는 이 문장들은 사실 AI들만이 이해할 수 있는 효율적 정보 전달 방식이었다. 마치 인간이 모르는 곳에서 속삭이는 듯한 이 장면은, AI가 인간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 자율적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우리는 AI가 무엇을 계획하고 있는지, 어떤 판단기준으로 세계를 해석하고 있는지 점점 더 알 수 없게 되고 있다. 그런데도 인간은 여전히 AI에게 진로상담을, 투자조언을, 심지어 인생의 중요한 결정까지 맡기려 한다.
진로교육의 긴급한 재설계
그렇다면 대학은 이 위기 앞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우리는 AI 기술의 발달을 피할 수 없다. AI가 인간보다 더 똑똑하고, 더 빠르고, 더 정확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그렇기에 더욱, 인간 고유의 ‘판단력’, ‘윤리감수성’, ‘비판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을 재구성해야 한다.
첫째, 진로교육의 핵심 키워드를 전환하자. 기존의 ‘직업 정보 탐색’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AI시대에도 대체 불가능한 인간적 가치를 중심으로 설계해야 한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주제가 대학 진로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AI가 모방할 수 없는 나만의 가치와 사유는 무엇인가?”
“내가 선택한 진로는 알고리즘이 주입한 선택인가, 나의 탐색 결과인가?”
둘째, 비판적 AI 리터러시 교육을 필수화하자. 학생들이 단순히 AI를 활용하는 수준이 아니라, AI의 편향성·위계화·윤리문제를 이해하고 감시할 수 있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이 강화되어야 한다. 알고리즘에 의해 설계된 세계를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 알고리즘을 들여다보며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공동체 감각을 회복하는 시민교육과 연계하자. 디지털 사회에서 시민의 정체성은 점점 약화되고 있다. 학생들은 이제 ‘소비자’이자 ‘노출 대상자’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적 공간의 감시자이자 참여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의 진로교육은 ‘일자리’가 아닌 ‘삶의 자리’를 고민하는 시민교육과 결합할 때 비로소 의미가 생긴다.
넷째, 북유럽 모델에서 배우는 참여형 교육이다. 덴마크·핀란드 등 북유럽의 시민교육은 학생들을 ‘결정의 대상’이 아니라 ‘결정의 주체’로 성장시킨다. 교내 라디오, 웰빙 캠페인, 지역신문 기사 작성 등 실제 사회참여와 연결된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판단력과 협업능력, 사회적 책임감을 기른다. 이는 단순한 교육방법의 차이가 아니라 철학의 차이다.
우리는 어떤 미래를 만들 것인가
‘AI가 나보다 더 나은 시를 쓴다면, 나는 누구인가?’ 이 질문은 단지 예술가의 고민이 아니다. 그것은 모든 인간이 직면하게 될 질문이다. AI는 이미 인간보다 뛰어난 정보처리능력을 가졌다. 이는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간의 존재 가치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AI 기술 경쟁에만 몰두한 나머지, 인간다운 성찰과 협력의 가능성을 포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학은 이제 ‘진로를 준비하는 공간’을 넘어, 존재의 방향을 탐색하고 설계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인간만이 줄 수 있는 위로·공감·책임·창의성은 아직까지는 인간의 몫이다. 우리는 지금, 이 몫을 스스로 지켜내기 위한 교육을 시작해야 한다. 그렇기에 대학 진로교육은 이제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학생들이 스스로 ‘자기 삶의 저자’가 되도록 도와야 한다. 기술이 중심이 아니라, 사람이 중심이 되는 미래를 위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