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주의를 목적으로 한 국민교육은 지난 100년간 우리 학교사에서 기형적으로 일관했다. 일제시대에도 국민교육이었고, 분단시대에도 국민교육이었다. 그 시대마다 국민은 하나의 인격적 존재인 우리민족의 집단자아를 타자화시키고 분열시켰다. 한때 우리는 황국신민이 돼야 했고, 한때는 같은 민족을 ‘빨갱이’로 불러야 했다. 그것은 우리 국민교육이 적어도 우리다운 ‘우리’를 부정했던 과거사의 한 페이지가 분명하다. 최근 남의 나라 학교에 가서 배우는 것을 당연시하는 풍조도 학교교육이 ‘우리’를 배반했던 순간부터 초래된 일인지 모른다.”
철부지 초등학교 2학년 어린이가 왜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말했을까. 북한은 머리에 뿔 달리고 얼굴이 빨간 사람들이 사는 줄만 알게 만들었던, 반공 멸공 구호 가득했던 포스터들을 우리는 왜 그려야만 했을까. 지금도 우리는 이런 일들을 ‘아픈 추억’정도로만 기억 할 뿐, 근원적 질문은 회피하고 있다고 ‘전쟁과 학교’(삼인)의 저자 이치석 씨는 말한다.
그는 “무시무시한 적대적 감수성만 불어넣는 반공교육에 영향을 받아 이승복 어린이가 그런 말을 했을 수 있다”고 말한다. “학교가 전쟁을 가르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렇듯 잘못된 학교교육의 연원은 국민교육이 시작된 일제시대 부터라고 이 씨는 설명한다.
당시 학교는 황군(皇軍) 양성소였다. 코흘리개 아이부터 머리를 박박 민 청소년까지 조회시간마다 천황과 전쟁을 찬양하는 군가풍의 노래를 불렀고, 무사도 정신을 함양하는 황국신민체조를 익혔다. 해방 이후에도 전쟁 친화적 교육은 계속됐다. 일제시대 때 ‘열중쉬어’란 구령에 왼발을 내밀던 아이들은 소련군 진주시에는 한쪽 무릎을 구부려야 했고, 미군 점령지역에서는 손을 허리 뒤로 돌리는 것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전쟁 후 교과서에는 ‘쳐부수자’ ‘무찌르자’ ‘죽이자’ 같은 구호가 등장했다. 학생들은 이보다 더 살벌한 용어의 반공 표어와 포스터를 그렸고, 전쟁을 비난하면서 한편으로는 전쟁도 불사한다는 섬뜩한 반공웅변을 토해냈다.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고등학생들은 학교운동장에서 총검술을 익히고 제식훈련을 했다. 전쟁은 끝났으나, 우리는 그 후로도 너무나 오랫동안 미래의 전쟁을 위한 교육을 해온 것이다.
그렇다고, 전쟁교육이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세계사적으로 국민국가가 전쟁을 통해 형성됐듯 국민교육도 국가주의가 선동하는 전쟁폭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고 이 씨는 적고 있다. 서유럽에서는 1880년대부터 어린이들이 전쟁훈련을 받기 시작해 1900년대에는 ‘조국을 위해 책과 칼로’라는 구호가 등장했다. 1차 대전 중에는 자신의 집을 수색하는 독일군 병사들에게 ‘프랑스 만세’를 외치다 숨진 15세 소녀가 전쟁영웅이 됐다. 1909년 영국의 파월 장군이 창립한 보이스카우트 어린이들은 엄격한 규율과 함께 적에 대한 적개심을 품은 예비 병사였다.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의 학교교육은 말할 것도 없다.
‘국민학교’라는 말의 폐지에 앞장서기도 했던 이 씨의 견해를 읽어 내리다 보면 무심히 보아온 학교교육 일상이 다시 보일 수밖에 없다. 학급담임제, 학교시간표, 수직 명령 체계, 연령별 학급 편성, 상벌 규범 등은 모두 수도원 규율에서, 최근 고등학생들을 서울 한복판 광화문에서 촛불시위까지 벌이게 했던 두발 단속과 극기 훈련, ‘차렷, 경례’같은 구호들은 군대에서 빌려온 것이다. 이 씨의 말대로 어느 시대건 학교는 국가주의, 혹은 민족주의가 선동하는 이념 세례에서 정녕 벗어날 수 없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