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09.19 (목)

  • 흐림동두천 25.0℃
  • 구름많음강릉 23.8℃
  • 흐림서울 25.8℃
  • 구름많음대전 24.0℃
  • 맑음대구 24.5℃
  • 박무울산 24.2℃
  • 맑음광주 25.2℃
  • 구름조금부산 27.0℃
  • 구름조금고창 23.6℃
  • 맑음제주 27.8℃
  • 흐림강화 24.6℃
  • 구름많음보은 23.1℃
  • 구름많음금산 23.8℃
  • 구름조금강진군 24.6℃
  • 구름많음경주시 24.0℃
  • 맑음거제 25.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나의 학생 평가는 전문적" 7.66점

KICE 보고서 ‘교사의 학생평가 조사 및 전문성 신장 요구 분석’

교사는 자신의 학생 평가 전문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교사 스스로는 전문성이 높다고 여기고 있다면, 전문가들도 교사가 교육평가 관련 지식을 학교에서 잘 적용하고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일까. 교원평가에 대한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최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인 펴낸 보고서 ‘교사의 학생평가 실태 조사 및 전문성 신장에 대한 요구 분석’(전국 초중고 603개교 및 16개 시도교육청 평가담당자와 교원연수원 연수담당자 면담 및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해 교사와 전문가 간의 견해차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사의 자기평가, 교육전문가의 평가, 학생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저해요인은 무엇인 지를 보고서를 중심으로 살펴봤다.

목표 진술력 높고 도구 개발능력 떨어져
■ 교사의 자기평가=교사는 자신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대체로 잘 하는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평가 활동에 대한 자기 평가 평균점수는 7.66점으로 잘하는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자기평가를 ‘잘함’혹은 ‘아주 잘함’이라고 응답한 비율을 각 활동별로 보면, 평가목표 진술능력은 90.0%, 평가도구 개발능력은 69.1%, 평가 결과의 분석과 해석 능력은 85.4%, 평가 결과의 활용 능력은 81.7%로 평가 목표의 진술 능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고 평가도구 개발능력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낮았다. 또 평가 결과의 활용 능력에서 ‘못함’에 응답한 비율은 초등 교사(9.3%)에 비해 중·고교 교사(중 22.9%. 고 21.5%)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 적용 전문성 ‘낮다’ 62.3%
■ 교육전문가의 평가=교사가 교육평가 관련 지식을 학교에서 적용하는 수준에 대한 교육 전문가들은 낮은 것으로 판단(약간 낮다 49.3%, 매우 낮다 13.0%)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대학교수와 교육 행정가는 ‘매우 낮다’가 (각 22.7%, 19.0%) 많은 반면 학교장은 매우 낮다(9.3%)보다 ‘약간 높다’가 39.8%로 나타나 대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집단에 관계없이 모두 교사의 교육평가 지식의 적용 수준에 대해 높다고 응답한 비육보다 낮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 전문성 중 가장 취약한 점은 ‘다양한 평가도구의 개발’(56.5%)를 들어 교사와 같은 의견을 보였다.

교사는 ‘잡무’, 전문가는 ‘교육제도’가 문제
■ 학생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저해요인=교사가 학교에서 학생을 공정하게 평가하는 데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초등과 중학교 교사는 ‘잡무로 인한 시간 부족’을 가각 58.1%, 46.5%로 가장 많이 꼽았고, 고교 교사는 ‘상급 학교 입시 등 교육제도’라고 한 응답이 49.1%로 제일 많았다. ‘학생평가의 전문성 부족’이라는 응답은 초등 25.8%, 중학 18.5%, 고교 14.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특히 중고교 교사의 경우 과학교사의 ‘학생평가에 대한 전문성 부족’이라고 응답비율이 1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 집단은 ‘상급학교 입시 등 교육제도’(40.8%), '학생 평가에 대한 전문성 부족‘(39.9%)순으로 나타났다. 집단 내에서 대학교수와 교육 행정가들이 ‘입시 등 교육제도’가 가장 문제라고 지적한 반면, 학교장은 ‘전문성 부족’(41.3%)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아 역시 차이를 나타냈다.

관례보다 ‘성적관리지침’ 대로 평가 필요
이인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은 “학교의 ‘성적관리 규정’을 잘 안다고 답한 교사가 37%정도에 불과하다”며 “이는 규정보다 관례에 따라 학생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초등 42.3%, 중고교 33.5% 학교장 및 행정가 50%)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관례에 따라도 되는 평가 문화는 교사가 학생 평가 전문성을 발휘할 필요도, 요구하지도 않는 문화로 교사가 타당도가 낮은 방법으로 평가 결과를 비교육적으로 활용한다 해도 점검할 장치가 없다는 것을 뜻한다”며 “학교성적관리지침을 보다 명료하게 하고 교사가 이 지침을 준수해 학생 평가를 실천하며 그 결과를 학습 향상에 기여하도록 활용하게 하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