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인 교수법은 20명이 한 반으로 구성된 미국보다는 40명 정도가 한 반이 돼 1명의 선생님이 모든 학생을 가르쳐야 하는 한국 환경에서 더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사 한 명이 가르쳐야 할 학생 수가 많다고 해서 학생들이 수업에 수동적이 되게 해서는 안 됩니다. 교사가 모든 것을 다 가르치려고 한다면 당연히 역부족일 것입니다. 이럴 때는 학생들을 그룹으로 나누어 학생과 학생이 서로 돕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학생 스스로가 수업의 주체가 돼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창의적인 교수법(CTT=Creative Training Techniques)의 개발한 교수법 전문가 밥 파이크(Bob Pike)가 작년 우리나라를 방문, 강의할 당시 한 이 말은 그의 책 ‘창의적 교수법’의 특징을 잘 설명해 준다.
밥 파이크가 주창하는 ‘창의적인 교수법’은 사실 어떤 묘책이나 기법을 종합적으로 모아 놓은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학습능력, 기억력, 실용 능력을 증진시키는 방법들을 통해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돕는 시스템이라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는 교사의 지도아래 학생이 중심이 되는 시스템, 즉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잘 배울 수 있는가에 항상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들은 것은 잊어버리고 본 것은 기억만 되나, 직접 해 본 것은 이해된다."고 말한 기원전 451년 공자의 현명한 관찰이 오늘날은 물론이고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적용되고 실용적으로 계발하여야 할 ‘참여적 교육’의 화두라고 그는 말한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물리학에서 말하는 '보일의 법칙'은 수식으로 P(압력)×V(부피)=C(상수)로 표현된다. 풀어보면, 온도가 변하지 않는 조건에서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 관계이므로 부피가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하면 부피가 늘어난다는 말이다. 여기에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교사는 입안에 공기를 가득 채워 부풀려보라고 먼저 학생들에게 말한다. 그리고 한쪽 볼을 눌러보라고 한 뒤 다른 한쪽 볼이 더 당겨지는 것을 느껴보라고 가르친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개발해 놓은 다양한 교수법은 크게 나눠 대화와 토론, 현장학습, 그룹 활동, 촌극, 신문기사 등 36가지에 이른다.
교수법은 이렇게 다양하지만 그의 교수법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 어린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시행착오를 겪듯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둘째 교사가 모든 것을 다 알려주는 것보다 학생들이 소그룹 토의를 통해 발견하지 못한 20%만을 가르쳐 줄 때, 학생들은 그 사실을 더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셋째 학습은 재미와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재미, 유머, 오락을 통해 학생들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학생이 제대로 학습하기 위해선 교사가 먼저 그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
‘동기부여’와 관련된 그의 주장도 독특하다. 교사가 학생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없다는 것! 그는 모든 학생은 이미 동기부여가 되어 있으며, 교사의 동기가 아니라 학생 스스로의 동기로 행동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과의 개인적 접촉 시간을 늘리고, 학생의 질문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통해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적용과 예시는 학습자의 몫이라 고 주장한다.
그러나 아무리 훌륭한 창의적 교수법을 가진 교사라 해도 놓쳐서는 안 될 중요한 것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바로 시간 안배와 활용. 토니 부잔(Tony Buzan)의 ‘양쪽 뇌를 사용하라’는 책에 따르면, 사람은 평균 90분은 이해하며 들을 수 있지만 20분 만을 기억하면서 듣는다고 했기 때문이다. 교실 수업은 40, 45분을 넘지 않으니 90/20/8의 법칙 중 “20분마다 변화를 주며, 8분마다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라”를 명심, 새 학기엔 ‘수업의 달인’으로 거듭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