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 4반, 독일어 4반. 이런 고교가 있을까? 물론 외고는 아니다. 일어와 중국어를 개설해주지 않는다는 학부모의 원성(?)에도 서울사대부속고에서 독어와 불어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건, 서울사대 독・불어교육과 학생들의 교생실습을 소화해야 한다는 ‘부속고’의 사명 때문이다.
이경률(48) 한국프랑스어교사협회 서울지역회장은 “92년 대전에서 1명 임용된 이후 한 번도 임용고시가 치러진 적이 없습니다. 저야 사대부고에 있으니 ‘붙박이’ 이지만 서울의 16명 다른 교사들은 대부분 ‘떠돌이 순회교사’를 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서울 서초고 김일환(56) 교사. 그는 일주일에 이틀 용산고로 출근한다. 용산고에서 독일어를 가르치던 교사가 다른 학교 일본어 교사로 옮겨가 버렸기 때문이다. “이것도 올해뿐입니다. 용산고 2학년생들 중 독일어를 배우겠다는 지원자가 없으니까요. 1981년 교사로 임용될 때는 한 학교에 독・불어 교사가 두세 명씩 있었는데….”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일반계 고교의 독어 불어 스페인어 교사는 626명이다. 87년 불어교사만 900여 명이었던 때에 비하면 엄청나게 줄어든 숫자다. 그럼에도 가르칠 학생이 없는 ‘과원(過員) 교사’가 서울시교육청만 36명에 달한다. 김 교사처럼 두세 학교를 돌며 순회 수업을 하는 교사가 생기는 건 이 때문이다. 이런 학생 수의 급락은 수능시험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프랑스어 응시율이 2004년 17%에서 2006년엔 7.6%로, 독일어 응시 비율도 2004년 22%에서 2006년 9%로 급락했다.
그렇다면, 그 많던 독일어와 불어 교사들은 다 어디로 간 것일까. 04, 05년 2년만 살펴보아도 29명의 유럽어 교사가 연수를 통해 영어(11명) 공통사회(7명) 일본어(6명) 중국어(5명) 등의 부전공 자격을 취득했다. 이경률 교사는 “프랑스어교사협회장을 맡고 있음에도 어쩔 수 없이 영어연수를 받았다”며 “이대로 가면 5년도 채 못돼 불・독어는 자취를 감출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전공을 바꾸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심리적 부담이 크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반면 중국어와 일어는 몇 년 새 급성장했다. 현재 전국의 중국어 교사는 1014명. 처음 중국어가 정규 과목으로 채택됐을 때에 비해 교사 수가 10배 늘었다. 2003년 서울에서 중국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한 고교는 57곳이었으나 2005년엔 102개 교로, 일본어의 경우도 2003년 117개 교에서 2005년 165개 교로 급속히 늘고 있다.
이러한 중국어와 일본어 편중은 글로벌 시대에 걸맞은 국가경쟁력 확보와 균형 있는 제2외국어 교육 측면에서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미국이 지난해부터 연방정부 차원에서 한국어, 아랍어, 말레이어 등 다양한 제2외국어 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것과도 대조적이다. 이경률 교사는 “중국어와 일어만 배우는 것은 아시아라는 우물안 개구리가 되겠다는 것”이라며 “3억 인구의 거대 구매력을 가진 EU(유럽연합)를 모른다는 건 결국 우리나라에 치명적 손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사는 유럽어 전공자가 전과해 중국어나 일본어를 가르치는 것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도 “수요자중심 교육이 결국 수요자를 멍들이고 있는 것 아니냐”며 “우르르 유행 따라 배우는 언어가 학생들의 커리어(career)에 도움을 줄 리 만무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