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신문지상을 통해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주요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첫째, 한국 청소년들이 주관적 행복감은 OECD 조사대상 20개국 중 최하위이다. 둘째, 교육 부문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경우 청소년을 위한 하부구조는 비교적 양호하지만 주관적인 행복감의 정도는 매우 낮다 등이다.
사실 한국의 청소년들이 행복하지 않다는 말은 잊을 만하면 한 번씩 나오는 터라 별로 새로울 것도 없다. 또 우리 청소년들이 행복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전문가란 사람들이 하는 말들 역시 입시지옥, 가정파괴, 교사와의 갈등, 부모와의 다툼 등 항상 하는 말들뿐이다.
필자 역시 과거 청소년 행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다. 그때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도 나에게 풀리지 않는 숙제는 바로 이런 것들이다. 당시 연구의 주제는 청소년의 행복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구축하는 것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영역의 상대적 중요성 등이었다.
그러나 정작 내가 고민했던 주제들은 우리가(즉 어른들이) 생각하는 행복한 청소년은 어떤 청소년들일까. 만약 청소년들의 행복이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나 준비와는 동떨어진 즉흥적 감각이나 기분에 치우친 것이라면 그것은 과연 바람직한가. 만약 청소년들이 먹고 마시고 놀 때가 가장 행복하다고 느낀다면 그냥 그렇게 놔두는 것은 어떠한가.
한마디로 말하면 청소년 그들의 행복과 이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함과는 어떤 관계가 설정되어야 하는가의 문제들이었다.
심야에 학교 또는 학원에서 공부하는 것에 행복을 느끼는 청소년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예상컨대 청소년들이 가장 큰 행복감을 느끼는 순간들은 우리 어른들이 바람직하게 여기지 않는 상황들이 대부분 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의 행복을 위하자니 바람직하지 않아 보이고 우리가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것들에 청소년들을 행복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과연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기성세대는 수많은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제도를 통해 그들의 규범체계 안으로 이 후 세대들을 편입시키고자 한다. 적어도 시민사회가 발달한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다양한 가치와 지향을 가진 규범체계가 공존 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 갈등과 충돌을 일으키기까지 한다. 그러나 성숙한 민주국가에서는 충돌이 발생하더라고 그것이 통제되고 조절되는 기제가 작동하게 되며 따라서 의견의 차이에 따른 극단적 파국은 어지간해선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의 한국사회는 다른 지향 또는 가치관의 제어되지 않는 전면적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이 말인 즉, 지금의 한국사회는 사회 구성원의 대부분이 공유하고 받아들이는 공통의 사회규범이 존재하지 않는 아노미적 상황이라는 것이다.
청소년의 행복을 말하다가 갑자기 규범체계는 뭐고 아노미는 또 뭐란 말인가. 필자가 말하고 싶은 것은 기성세대의 사회가 이러할 진대 우리의 자녀들에게 우리는 무엇이 올바르다고 말할 수 있으며 무엇을 전해줄 수 있고 또 그들에게 무엇을 바랄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다. 1990년 후반 동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를 특징짓는 것들은 바로 극단적 황금지상주의, 한탕주의, 배타적 가족주의 등이다.
이런 분위기에서 어른들이 청소년들에게 하는 말은 고작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 가면 좋은 직장 구할 수 있고, 또 부잣집에 시집, 장가 가고 하는 식의 말들이다. 이런 말 외에는 달리 해줄 수 있는 말이 없는 것이다.
청소년의 교육과 관련해서도 한쪽의 논리는 반대쪽의 논리에 의해 서로 ‘하향평준화’나 ‘학교의 서열화’등의 선동적인 문구로 매도되어 버린다. 도대체 청소년들에게 공부를 더 시키자는 것이 무엇이 그리 잘못된 것이며,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 자녀의 공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자는 논리가 뭐가 그리 잘못됐는가.
청소년들도 성숙된 자아를 가지고 있으며 스스로의 미래에 대해 주체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청소년기는 이후 미래의 삶에 대한 진지한 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형성된 자아 그리고 미래에 대한 진지한 준비가 중요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적절한 지도와 훈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을 지도할 매뉴얼조차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고작 하는 말은 ‘공부해라’ 뿐이다. 청소년들의 행복을 논하기 이전에 먼저 우리 어른들이 행복한지 한번 생각해 보자. 노력한 만큼 성취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의무를 이행하고 있는지를…….
자신이 그려왔던 삶과 현재의 삶이 얼마만큼 맞아 떨어지고 있는지,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모습들에 대해 만족하는지, 어른들이 삶에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고 사회에 만족하기 않는다면 우리는 우리의 자녀들에게 진지하게 해줄 말이 없어지게 된다. 청소년들이 행복을 논하기 전에 우리 어른들이 행복한지 생각해 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