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평판도(reputation) 조사는 주관적이고 신뢰성을 의심받을 개연성이 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한 대학 평가는 학문적 평판의 척도로 노벨상 수상 여부를 봅니다. 한국 같은 나라가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죠".
한국대학국제처장협의회(회장 김신동 한림대교수)가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대학평가 제도 개선 세미나'에선 대학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안과 관련해 국내외 전문가들의 다양한 지적이 쏟아졌다.
학계 인사들에게 대학의 학문 수준을 묻는 평판도 조사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영국의 유명 대학평가 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의 필 바티 부(副) 에디터는 "기자 등 외부 전문가에게 학교의 평판을 묻거나 매년 겨우 수천명만 설문해 세계 대학의 등수를 매기는 관행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평판도 조사는 응답자의 주관성 때문에 역사가 길고 규모가 큰 대학을 선호하기 쉽다. 예컨대 한국에서는 포스텍(POSTECH) 같은 학교가 불리해질 개연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이화여대의 한유경 교수(교육학)는 "국제 학점 인정 등을 할 때 어떤 대학이 다른 나라의 대학과 동급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국제 논문의 인용 횟수를 평가 지표로 쓰는 관행에 대해 공정성을 높여야 한다는 발언이 나왔다.
연세대의 이지만 교수(경영학)는 "영어 논문을 우대하는 관행을 고칠 필요가 있고 사학이나 신학처럼 지식의 유통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학문을 공학 등과 같이 평가하는 점도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남대의 신경구 교수(영문학)는 서구의 세계 대학 평가가 영어를 통한 학문적 차별을 할 우려가 있다며 언어의 다양성을 독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역별 가중치 정책도 개선 대상으로 꼽혔다.
국제 학술 데이터베이스(DB) 운영업체인 톰슨 로이터의 사이먼 프랫 매니저는 "언어 장벽과 정책 등 요인 때문에 국가별로 논문의 국제 인용 횟수에 격차가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가중치를 통해 지역별 보정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려대의 김동원 교수(경영학)는 "가중치가 평가 기관마다 다르고 시간에 따라 변해 같은 학교의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 최소한 연구와 교육, 사회적 평판 등에 대한 가중치와 관련해 합의가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