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초·중·고 및 대학 교원들은 민선교육감 체제 출범이후 학교 현장이 부정적으로 변했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 1년 동안 교육의 정치화·이념화가 가속돼 가르치고 키우는 교육의 본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교총이 2일 발표한 ‘직선제 교육감 1년, 교원 설문조사 분석’에 따르면 ‘직선제 교육감 출범이후 학교 현장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 교원들은 ‘부정적으로 변했다’(31.6%), ‘매우 부정적으로 변했다’(22.6%)로 부정적인 답변이 반을 넘었다. 이 질문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이른바 진보성향 교육감 지역에 근무하는 교원의 경우 응답자의 67.8% 부정적인 응답을 해 보수 성향 교육감 지역의 34.7%보다 높게 나왔다.
‘직선교육감 출범 이후 교육계의 가장 큰 변화를 묻는 질문’에 교원들은 ‘교육의 정치화 이념화 가속화(29.9%), 교육공동체간 대립심화(23.1%), 학생·학부모 권한 강화 및 참여 확대(22.9%), 교과부-교육청 간 갈등 심화((13.0%) 순으로 답했다.
또 교원들은 ‘단위학교 자율성에 관한 질문’에 ‘늘었다’는 응답비율은 14.3%에 불과했으며, 줄었다는 응답은 42.1%를 기록했다. 내년 총선 및 대선에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답변은 85.4%로 교원들의 정치활동에 대한 관심과 영향력이 주목을 끌었다.
직선교육감의 향후과제에 대해 교원들은 ‘학교에 맞는 정책 개발 및 시행(61.9%)’을 우선순위로 꼽았으며, ‘단위학교에 대한 자율성 보장’(23.7%), ‘학생이나 학부모 요구에 맞는 정책시행’(9.1%), ‘선거공약의 충실한 이행’(5.3%) 등을 주문했다.
설문결과를 분석한 장승혁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연구원은 “현장 교원들이 직선교육감에 대해 낮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이 확인 된 만큼 포퓰리즘 정책과 학교 현장의 안정성을 해치는 갈등 정책보다는 남은 임기동안 학교에 맞는 정책개발과 시행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설문은 지난달 20~30일 전국 유·초·중·고 및 대학 교원 2599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교사·교감·교장·교육전문직·교수 등 각 급 학교 및 직급을 고려해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