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교대 박사과정이 필요한 이유

요즘 교육대학 입학생들의 성적은 대략 상위 5% 이내에 속해 있다.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일반대학을 졸업한 학생들도 많이 입학한다. 명성이 자자한 대학을 졸업하고 내로라하는 기업에 다니다가 다시 교육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을 보면 여러 가지 생각이 든다. 이처럼 우수한 학생들이 초등교육에 투신하지만 교육대학에는 이들을 초등교육 전문가로 계속 성장시켜 줄 박사과정이 없기 때문이다.

교대 학생들이 초등교육과 관련된 전문성을 심화하기 위해 갈 수 있는 곳이 현재로서는 교대의 교육대학원 정도이다. 그러나 교육대학원은 현직 교사의 재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진 특수대학원이지 학술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일반대학원이 아니기 때문에 초등교육 전공자들의 연구 의욕을 채워주기에는 미흡하다. 그래서 초등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교육대학에 박사과정이 설치되기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다.

현재 정부는 교육대학에 박사과정 설치를 반대하거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을 전공하고 싶으면 박사과정이 설치된 일반대학에 진학하면 되기 때문에 교대 박사과정 설치가 필요 없다고 한다. 한때 고등교육은 수준이 높고, 중등교육이 그 다음이고, 초등교육은 초급 수준이라는 생각이 별 비판 없이 통용되던 때가 있었다. 이 영향으로 중등교육이나 고등교육을 연구하면 초등교육의 전문성도 자연스럽게 길러지리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이는 오류이다. 대학교수가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면 잘 가르칠까? 그렇지 않다.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의 연구 내용과 대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고등교육이나 중등교육을 전공해도 초등교육의 전문가가 될 수 없다.

둘째, 교육대학의 박사과정 설치는 대학구조 개혁정책에 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허용할 수 없다고 한다. 대학 구조조정과 소규모 대학 통폐합으로 대학의 효율성을 높여야 하는데, 교대 박사과정 설치는 대학 규모를 확장하는 것이므로 개혁정책에 위배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대학구조 개혁의 근본 취지는 지나치게 비대해진 대학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있다. 교대는 그동안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왔으므로 이제 그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박사과정을 설치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정부는 교대에 박사과정을 설치하면 학위를 받은 사람들이 취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곤란하다고 주장한다. 정부의 걱정이 고맙기는 하지만 괜한 걱정이다. 교대 박사과정을 졸업하고 취직을 못할 것 같으면 지원자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상은 교대 박사과정의 지원자들이 매우 많다. 그리고 이들이 모두 대학교수를 꿈꾸는 것도 아니다. 대다수 지원자들은 초등교사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자기 분야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학위를 취득하려 한다. 따라서 이 주장은 적절치 않다. 오히려 교대에 박사과정이 없기 때문에 많은 초등 교사들이 초등교육과 정체성이 일치하지도 않은 일반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다. 이들은 초등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학문적 미아(迷兒)에 해당한다. 불행한 일이다.

정부에게 바란다. 초등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대학에 박사과정 설치가 꼭 필요하다. 정부는 이점을 명심하고 교육대학 박사과정 설치를 위한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하루빨리 앞장서 주기 바란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우리나라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곳이 아닌가. 초등교육의 중요성은 재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매우 우수한 학생들이 초등교육에 투신하고 있는데 이들의 전문성을 발전시켜줄 박사과정 개설을 국가가 앞장서 반대하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교육대학의 박사과정 설치에 관한 논란을 보노라면 교과부가 교육대학을 통제하기 위해 반대하는 것 같다는 의심을 떨쳐버릴 수 없다. 획일적 논리로 구조 개혁의 성과를 내려는 것과 초등교육의 건강성을 지켜온 교육대학에 박사과정을 설치하는 것 중 무엇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올지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해 주길 바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