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청각 장애 딛고 소리로 하나 돼 사물놀이 하죠”

서울삼성학교 풍물부 ‘소리’ 신래범 지도교사



“덩 덩 덩더덩….”

8일 청각장애 특수학교인 서울삼성학교(교장 김선희) 풍물부 ‘소리’의 연습시간. 학생들이 음악실을 장단으로 가득 메웠다. 30여 명의 학생들은 저마다 흥에 겨워 어깨춤을 추며 북, 장구, 꽹과리를 하나의 소리로 맞췄다. 놀라운 것은 여느 사물놀이패 못지않은 이 학생들이 청각장애인이라는 사실이다.

듣지 못하는데 어떻게 장단을 맞추고 리듬을 탈 수 있을까. 신래범(53) ‘소리’ 지도교사는 “청각장애인이라고 해서 소리를 아예 듣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학생마다 청력에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청각장애인은 저음 영역을 고음보다 잘 듣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장구와 북 등은 저음이어서 다른 악기에 비해 소리와 울림을 더 잘 느낄 수 있고 이를 통해 사물놀이 연주를 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약 10분간 이어지는 ‘웃다리 사물놀이’를 연주하는 동안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며 수시로 자신의 박자를 확인하고 신 교사의 지시에 따랐다.

학생들의 청능 훈련을 위해 1990년 창단된 ‘소리’는 일 년에 수차례 외부 공연을 할 정도로 이미 특수교육계에서는 꽤 유명한 풍물패다. 학생 구성은 중1에서 고3까지, 사물놀이를 배운 경력도 3년에서 5년으로 제각각이다. 학생들은 신 교사의 지도로 일주일에 2번씩 방과 후에 사물놀이를 연습하고 있다. 청각장애 학생들에게는 음악 감상, 노래 부르기 음악 수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타악기의 리듬과 울림을 느끼면서 음악을 체험하도록 돕는다. 또 사물놀이는 학들에게 협동심과 자립심을 길러주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신 교사는 “청각장애 학생들은 듣지 못한다는 소외감에 수동적이고 이기적인 성격이 되기 쉽다”며 “처음에는 엇박자를 내던 아이들이 끊임없이 연습하는 과정에서 인내와 끈기를 배우고 혼자만의 노력이 아니라 모두가 협동해야만 어우러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가는 것을 보면서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큰 소리, 하나의 소리라는 ‘소리’의 의미처럼 신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하나가 돼 소리로 장애를 극복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공연 후에 아이들이 정말 청각장애학생이 맞는지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다”며 “아이들이 장애를 딛고 그만큼 완벽한 공연을 해냈을 때 가슴이 뿌듯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