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2013학년도 입시에서 전체 정원의 80%를 수시모집으로 선발하되 전원 입학사정관제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홍익대도 미대 선발 인원의 실기시험을 축소하고 100% 입학사정관제로 뽑겠다는 계획안을 발표했다. 포스텍(포항공대)과 카이스트는 이미 모집 정원의 100%를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하고 있다.
이번에는 서울교대를 포함한 전국 10개 교대가 입학사정관 선발을 두 배 이상 늘린 120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서울교대는 모집정원을 입학사정관제로만 100% 선발하는 파격적인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를 먼저 도입한 광주교대와 부산교대는 전체 정원의 절반 가까이를 선발한 뒤 점차적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교대는 상위권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기 때문에 내신이나 수능점수가 월등한 경우에 한하여 지원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된 후 정량화된 점수보다는 진로를 미리 설정하고 교사가 되기 위해 다양한 활동과 노력을 한 학생이 입학하면서 교대내의 분위기도 많이 바뀌고 있다. 입학사정관제가 활성화된 광주교대의 경우, 사정관전형 입학생들이 동아리나 학생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등 교사로서의 자질 중 하나인 사회성이 좋고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크며 이탈률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차 강조하지만 공교육 문제의 근본 원인은 바로 공부 선수를 만드는 치열한 점수 경쟁에 있다. 성적으로 인한 학생들의 스트레스는 이미 위험수위를 넘었다. 특히 교육환경이 급변할수록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덕목은 지식보다도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사랑과 소통에 있다. 최근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각종 대책이 쏟아지고 있지만 결국 학생 지도는 교사의 몫이기에 교사의 인성이 곧 학생의 인성으로 연결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학창시절에 선생님을 꿈꾸며 오랜 기간 준비하고 열정적으로 활동한 사람이 교단에 섰을 때 그 경험은 고스란히 아이들에게 전달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서울교대를 포함한 전국 교대의 입학사정관제 확대는 예비교사로서의 자질과 인·적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선발 과정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확보와 객관적 검증 장치의 마련 등 충분한 준비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