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국회의원 총선거가 목전으로 다가왔다. 이번 19대 총선은 단순히 국회의원을 선출한다는 의미를 넘어 그 결과에 따라 연말 대선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각 당이 총력을 경주하고 있다. 정치권에서 의회와 대통령이 행사하는 권력을 생각할 때 유권자는 국민을 두려워하고 섬길 수 있는 정치인을 뽑아야 한다.
교육의 미래를 생각하며 총선을 바라볼 때는 교육공약이 보인다. 후보들마다 지역의 교육 현안과 주5일 수업에 따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다. 여러 후보들이 지역의 교육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공약 제시와 이를 실천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으나 일부 후보들은 특목고 설립 등 권한 밖의 공약을 내거는 등 교육계의 표를 끌어모으기 위해 지키지도 못할 공약을 남발하는 경우도 있다.
지역에서 국회의원의 역할은 지방자치단체장 못지 않게 매우 중요하다. 국회의원이 말 한마디가 지역의 교육 예산 편성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 또한 사실이다. 국회의원이 얼마만큼 교육에 대한 열의를 갖고 있느냐에 따라 지역의 교육 경쟁력도 달라질 수 있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은 교육에 있다. 국부 창출의 원천은 지식에 있고 그 지식은 바로 교육으로부터 나온다. 그런만큼 교육 전문가를 선출하는 것은 지역뿐만 아니라 국가의 장래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만일 이번 총선에 나온 후보자들 가운데 지역의 교육에는 전혀 관심이 없고 어떻게든 학연, 지연, 혈연을 동원하거나 유력한 대선 후보의 후광에 편승하여 금배지를 달겠다는 사람이 있다면 이는 우리 교육자의 힘으로 낙선시켜야 마땅할 것이다. 수많은 갈등이 난마처럼 얽힌 국정을 풀어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올바른 국가관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특히 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어야 한다는 점은 대다수의 유권자들이 동의하고 있는 사항이다.
참정권은 국민의 권리이자 책임이다. 특히 교사들은 미래의 유권자인 학생들에게 민주주의의 근간인 참정권의 중요성에 대해 가르치기 때문에 선거 참여는 언행일치의 모범을 보인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번 4.11총선을 통하여 우리 교육자의 한 표 한 표가 모여 실추된 공교육을 바로 세우고 교육 선진국 진입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