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고교 2학년이 치를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 계획이 발표됐다. 핵심은 언어·수리·외국어 영역의 난이도를 A, B로 나눠 수험생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형은 현재보다 쉽고 B형은 현재 수준과 비슷하다. 언어와 외국어는 50문항에서 45문항으로, 탐구 영역은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준다. 교과부는 이같은 조치가 학생들을 과도한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게 해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밝혔다.
일각에서는 지난해처럼 변별력이 떨어져 수능 성적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정시의 경우, 치열한 눈치싸움이 전개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또 문제가 쉽다 보니 한두 문제를 실수할 경우 엄청남 타격을 입을 개연성도 높다. 지난해 ‘물수능’의 대표적 사례로 꼽히는 외국어 영역의 경우 원점수 기준으로 만점을 받은 학생이 무려 1만 7000명이었다.
중상위권 대학들은 국어, 영어, 수학 과목에서 현재의 난이도와 같은 B형을 모두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결국은 정시보다는 수시 비중을 늘릴 가능성도 높다.
일각에서는 수능의 변별력이 떨어지면 오히려 입시 컨설팅, 논술 과외 등 사교육비의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교육현장의 현실을 잘 모르고 하는 소리다. 우리 교육이 처한 당면 과제는 치열한 입시 경쟁으로 인해 인성교육이 어려워 교권이 추락하고 학교내 폭력이 빈발하며 심지어는 성적 때문에 자살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은 결국 아이들이 치열한 점수경쟁에서 벗어나 각자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건전한 인격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에 방점을 찍는 것이다. 변별력 문제를 논하기 전에 현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학교생활에 있다. 점수따기 경쟁이 휘말려 자신의 소질과 잠재력이 무엇인지 조차 모르고 성적에 대한 압박감으로 학교가기를 두려워한다면 대한민국의 장래는 없다.
이번 수능 기본 계획 발표를 우리 아이들이 학교생활에 즐거움과 행복을 느끼도록 해 줄 방안에 대한 고민을 좀 더 치밀하고 정교하게 다듬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