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의 학교폭력 매뉴얼이 지나치게 엄격하다. 가해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처벌인 ‘서면사과’를 받아도 모두 학생부에 올리도록 되어있다. 굳이 이렇게 낙인을 찍을 필요가 있는가. 기록이 남으면 이 학생은 수시로 대학에 가기 힘들다.”(학부모)
“그동안 학교에서 학교폭력에 대해 기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편하거나 옳지 않다고 느낄 수 있지만 성적이 좋고 나쁨이 기록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봐야한다. 학교폭력 가해 기록과 함께 변화된 모습도 기록하도록 했다. 이 같은 과도기를 거쳐야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이주호 장관)
12일 학교폭력에 관한 연극 ‘니 부모 얼굴이 보고싶다’(신시컴퍼니)를 관람하기 전 교과부 장관과 학부모 간담회에서 나온 이야기였다.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을 맡고 있는 이들 학부모의 주장에 일견 공감이 가기도 했다. “그래, 한번 실수도 기록되는 건 좀 심하지 않을까”라고 말이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론 “또 대학입시구나”라는 생각에 씁쓸했다. ‘낙인’을 먼저 내세웠지만 마지막에 내뱉은 진심은 ‘수시로 대학가기’였기 때문이었다.
피해자 부모 “한 아이의 억울한 죽음에도 변하지 않는 학교, 반성하지 않는 가해자, 당연한 처벌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사회에 분노한다.”
가해자 부모 “일을 크게 만들지 말자, 우린 뭉쳐야 한다, 혼자 왜 착한 척 하느냐”고 다른 부모를 몰아붙이고, 자식들에게는 “부인하라, 증거가 될 문자 메시지를 지우라”고 시키는 등 진실을 외면한다.
그렇게 서로의 입장 차를 확인한 ‘소통’을 뒤로하고 연극의 막이 올랐다. 서울 강남의 한 여자중학교에서 ‘왕따’에 시달리던 학생이 자살한 뒤 가해자로 지목된 다섯 학생의 부모가 모였다. 부모들은 귀를 막고 무조건 자기 자식을 보호하려고만 든다. 오히려 죽은 아이를 손가락질한다. 아이의 엄마가 식당에서 일한다는 사실을 들어 '자격지심과 열등감으로 죽었을 것'이라고 뒤집어씌운다. 그들에게 중요한 것은 오직 내 딸이다. 진실 따위는 필요 없다.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유서를 태우고, 또 한 통이 나타나자 씹어 삼켜버린다. 외손녀가 가해자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반성하려는 외할아버지를 “일을 크게 만들지 말자”, “우린 뭉쳐야 한다”, “혼자 왜 착한 척 하느냐”고 몰아붙이기도 한다. 자식들에게는 “부인하라” “증거가 될 문자 메시지를 지우라”고 시킨다. 옆 교실에 있다는 가해 학생들도 사과나 뉘우침을 모른다. “배고프니 피자 시켜달라”고 담임교사를 조른다. 학교 측은 이런 부모들의 행동에 은근슬쩍 동조하는 등 학교 위신이 추락할까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연극의 원작자는 일본의 고교 교사 출신 극작가 히타자와 세이고. 2006년 일본 후쿠오카 현에서 발생한 중2 남학생 자살사건을 계기로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해 책임을 느끼지 못하는 현실을 고발하고 싶어 극본을 썼다”고 한다. 얼마 전 대구에서 자살한 중학생 권군의 어머니가 책을 펴냈다. 그녀 역시 “한 아이의 억울한 죽음에도 변하지 않는 학교와 반성하지 않는 가해자, 당연한 처벌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 사회에 대한 분노 때문”에 책을 썼다고 밝혔다.
그녀는 책에서 “가해자도 어린 학생에 불과하다는 소리를 숱하게 들었다. 그러나 아무리 어려도 정당한 죗값을 치르게 하는 것이 더 이상 학교폭력으로 자살하는 아이가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썼다. 또 “사태를 이렇게까지 만든 건 아이들의 부모님”이라고 말하며 “(가해 학생) 부모들이 1심에서 반성했으면 이렇게까지 화가 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진정성이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가 없다”고 부연하고 있다.
연극관람에 앞서 논란이 됐던 매뉴얼에 생각이 미쳤다. 경기도 가평의 한 중학교에서 있었던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도 이 매뉴얼에 따라 징계가 내려졌으나 일부 학부모들이 학생부기록만은 못 받아들이겠다면서 “우리 아이는 억울하다” “학교에서 소명 기회를 주지 않았다” “교사가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을 방관해 벌어진 사건이다. 교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 재조사를 요구했다고 한다. 이들 중 한 학부모는 “아이의 장래 희망인 외교관이 되는 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연극보다 잔인하고 생생한 현실을 겪고 있음에도 학부모도, 교사도, 학생도, 우리는 여전히 방관자로 남아 있다. 간담회에서 ‘수시로 대학가기’를 언급했던 학부모들은 연극이 끝난 후에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지 잠시 궁금해졌다. 하지만 그들에게 차마 그 질문을 던지지는 못했다. 가해의 가혹함에 분노가 치밀면서도, 자식을 감싸려는 연극 속 그들에게 전혀 공감하지 못했다 말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자식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인간 본성의 추악함을 드러내는 저들 중 어느 하나, 어쩌면 저들 모두를 합한 ‘니 부모의 얼굴’이 바로 우리 모두의 얼굴이었기에….
일시 7월 29일까지|장소 세종M씨어터|
교총회원 40쌍 무료초청, 특별할인 문의=(02)570-57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