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5학년 교실에서 있었던 일이다. 담임 교사가 가정일로 특별휴가를 받아 보결수업을 하던 중 학생들에게 ‘어린왕자’를 읽은 적이 있는지 물었다. 30여 명의 학생 중 제법 많은 수가 읽었다고 대답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책이니 거의 다들 읽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물었던 것인데 기대에 비해서는 많이 읽지 못했단 생각이 들었다.
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나 김용 세계은행 총재를 아는지 물었다. 그리고 최근에 인천 송도에 유치한 국제기구 녹색기후기금(GCF)에 대해서도 물었다. 반기문 사무총장은 알겠는데, 그 외의 내용은 별로 아는 게 없다는 듯 아이들은 눈만 깜박이며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내가 만드는 질문 노트’에 대한 얘기를 들려주기 시작했다. 그리고 신문도 열심히 보라고 일러주었다. 필요하면 텔레비전 뉴스도 볼 것을 주문했다.
‘내가 만드는 질문 노트’는 바로 자신이 알고 싶은 것, 호기심이나 궁금증으로 알아보고 싶은 것을 스스로 찾아보고 알아가는 진짜 자기주도 학습 방법이다. 별로 특별하지 않은 공책을 한 권 마련해 하루에 하나 혹은 이틀에 하나씩도 좋으니 스스로 질문을 만들어 주제를 정하고 자료를 찾아 공부한 내용을 적어가면 된다.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니 스스로 천천히 오랫동안 꾸준히 쉬엄쉬엄 실천해 보라고 했다. 생텍쥐페리는 어떻게 어린왕자와 같은 훌륭한 글을 쓸 수 있었을까. 반기문 사무총장, 김용 총재는 어떻게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인물이 됐을까.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될 국제 녹색기후기금(GCF)은 어떤 기구일까.
이런 질문을 스스로 만들어 자료를 찾아보고 내용을 정리해보는 것이 바로 ‘내가 만드는 질문노트’다. 이렇게 하루 이틀 하다보면 공부한 내용이 쌓이고 생각과 눈높이가 올라가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어느새 훌쩍 커버린 자신을 발견할 수 있고 기쁨을 맛보게 될 것이다.
국어, 영어, 수학 등의 공부도 잘해야 하겠지만 꿈을 더 큰 무대에 펼치기 위해서는 더 넓은 세상을 보고 읽을 수 있는 안목과 감각을 키워야 한다. ‘내가 만드는 질문 노트’를 활용한다면 아이들의 생각을 넓히는 일이 한층 쉬워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