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학급 교육과정 재편성… 성과 ‘미미’
1회성 프로그램으로는 변화 못 이끌어내

“지난해 3월 부임하자마자 아이들이 화장실에서 담배를 피우다 화재경보기가 울려 한바탕 난리가 났습니다. 이런 상황에 무감각해질 정도로 교사들은 극심한 매너리즘에 빠져있었습니다. 한마디로 사고뭉치 학교였죠.”
20일 한국교총에서 열린 교과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주최한 ‘2012 하반기 어울림프로그램 워크숍’에서 프로그램 운영 우수사례 발표자로 나선 이선원 대전 법동중 교장(61)은 “문제 학생에게도 꿈과 희망이 있다는 믿음을 버리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며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더니 변화는 일어났다”고 밝혔다.
이 교장은 부임 직후 ‘고위험군’학생 19명과 학부모 동의를 받아 특별학급을 편성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체험학습 위주로 교육과정도 재편성했지만 성과는 미미했다. “특별학급 수업이 너무 힘들다”고 토로하는 교사도 늘어만 갔다.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교실에 CCTV를 설치했습니다. 공개수업 명목이었지만 사실은 아이들을 관찰하는 쪽으로 사용했죠. 수업시간에 잡담하기, 엎드려 자기, 돌아다니기, 그리고 교사들이 수업을 포기하는 모습…. 가슴이 무너지는 것 같았어요.”
이 교장은 특별학급 학생, 학부모, 교사들과 캠프를 떠나 동영상을 그대로 공개했다. 그는 “이게 너희들, 당신 자녀의 모습이다. 우리 함께 반성해야 하는 것 아니냐”라고 말하고 싶었다면서 “학부모들도 큰 충격을 받은 듯 했다”고 토로했다.
진심과 열정이 통한 것일까. 캠프 이후 학생들은 잘못을 자각하기 시작했고, 학부모들도 아이들에게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데 뜻을 같이하게 됐다. 그는 “하고 싶은 일을 찾으면 무엇이든 해주겠다”고 했고 학생들은 ‘밴드’를 결성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교장은 전문 강사와 악기를 지원했다.
아이들의 눈빛이 달라졌다. 3개월 연습 끝에 축제에서 멋진 공연을 펼쳤으며 한 학생은 ‘지금까지 살면서 남에게 인정받는 기분’은 처음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특별반학생 중 한명이 ‘금품갈취’로 오늘부터 등교정지를…”이라며 이 교장이 말을 잇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자 장내가 숙연해지기도 했다. 그렇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회봉사, Wee센터 상담 등 수많은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단기간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요. 학교폭력은 한 번의 노력으로 사라지지 않죠. 학교가 무거운 책임의식을 갖고 끝까지 학생들을 포기해서는 안 되는 이유입니다.”
▨ 어울림학교는 학교 구성원 모두의 공감과 소통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7월 전국 16개 모델학교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100개 학교로 확대․실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