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 시작으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이 본격적인 시험 무대에 올랐다. 그동안 준비해왔던 계획을 차근차근 실행에 옮기고 있는 연구학교들은 지금 어떤 모습이며, 고민은 무엇일까. 본지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백순근)이 자유학기제를 적용하고 있는 연구학교 두 곳을 찾았다. 연구학교 계획도, 학교특성도 너무 달랐지만 두 학교 구성원들은 자유학기제 실시가 교육과정 재구성과, 평가·수업개선이 요구되는 만큼 “학교의 모습은 새롭게 변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24일 경기 안산 신길중(교장 황운연) 1학년 7반 교실. 박혜진 교사(도덕·사회)가 ‘인간 존엄성과 인권의 보편성’에 대해 사회, 국어 융합수업을 진행했다. 소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통한 생각 열기로 시작된 수업은 1970년대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산업화, 인권문제에 다다랐다. 학생들은 8개 모둠으로 나뉘어 장애인, 이주노동자, 외모지상주의 등 주제를 정하고 인권에 대한 공익광고포스터를 만드는 과정에 빠져들었다.
언뜻 보면 신길중에서 융합수업을 중심으로 하는 선택프로그램 같지만 수업이 시도된 것은 기본교과다.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기 전엔 볼 수 없었던 변화된 학교의 모습이다. 박 교사는 “수업시수가 줄어 핵심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이것을 토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되도록 하나의 수업에 여러 가지를 융합하는 시도를 하게 됐다”며 “막상 자유학기제를 시작해보니 교사도 시험·진도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다양한 수업을 해보게 되고, 아이들 반응도 뜨겁다”고 말했다.
신길중은 교육부가 제시한 유형 중 ‘학생선택프로그램 중점모형2’를 적용했다. 국·영·수·과·도덕·한문 등 총 6시간의 기본교과 시수를 줄이고 수·목 5, 6, 7교시 블록타임으로 각각 교과연계, 적성 선택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시험이 없는 대신 자기평가, 형성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등으로 평가를 다양화하고 모둠별 수업이 크게 늘어난 만큼 조원들끼리의 평가, 다른 조 평가, 자기평가를 같이 하도록 해 평가의 신뢰도를 높였다. 황운연 교장은 “교육과정 재구성부터 수업, 평가가 바뀌어야 하는 자유학기제의 근본 취지대로 운영하려면 교사가 힘들 수밖에 없다”며 “열심히 하려는 학교 분위기 덕분에 교사들이 그 취지를 정확히 이해하고 잘 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길중의 자유학기제 안착이 빨랐던 이유는 거창하고 화려한 진로체험·인사초청·선택프로그램 운영이 아니라 지역사회, 우리 이웃에서 답을 찾은 데 있다. 학교 교원과 학부모 지원단 35명이 직접 발로 뛰었다. 학부모 모임을 가진 ‘안산 삼대 째 손두부 집’을 장인정신으로 대를 잇는 손두부 만들기 체험장으로 즉석 섭외하는 식이다. 근사한 직함을 가진 사람이 아니어도 삶의 철학이 있는 이웃들은 바로 신길중의 초청 강사가 된다.
대학과의 연계를 바라는 다른 학교와 달리 진로체험에 안성맞춤인 주변 특성화고의 문을 두드렸다. 안산녹색소비자연대와 학교가 손잡고 공동으로 12차시에 이르는 ‘녹색학교 만들기’ 선택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은 연구학교 중에서도 성공적인 지역 연계 사례로 꼽힌다.
‘학교 문화·교사의 열정’이 성패 좌우
발로 뛰어 지역사회 연결 쉽지 않아하지만 운영하면서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허은숙 교육과정부장은 “자유학기제 운영은 외줄타기 같다”며 “실제 운영에서는 교사가 움직여야 하고 시간이 확보돼야 하는데 교사들의 피로도가 너무 높다”고 지적했다. 지역사회로 포커스를 맞춘 신길중도 체험인프라 마련은 역시 힘든 과제다. 안수경 진로부장은 “이전보다 학교를 도와주는 곳이 많아졌지만 연계를 위해 7~8시까지 해당기관 담당자를 기다리다가 만나고, 거절당하기도 하는 등 아직은 지역사회에 자유학기제 홍보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순근 한국교육개발원장은 “42개 연구학교가 각 학교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다른 선택지의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해 교원들의 피로도가 높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그렇지만 자율권이 주어진 만큼 개별 교사들이 하고 싶은 수업, 프로그램 운영을 스스로 하도록 국가, 자유학기제지원센터가 열심히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