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쟁 도구화 경계하는 학교 현장
차분한 분위기속 “교육자 길 찾자”
세월호 참사 1주기, 학교 현장은 대체로 차분한 분위기였다. 교육현장이 소모적인 정치논리에 휘말리는 걸 최대한 차단하고, 참사를 교훈 삼아 인성·기본교육 강화 계기로 삼자는 목소리가 높다.
교육부는 사고 전후 1주일(13∼17일)을 추모주간으로 지정·운영하고 학교별로 희생자 추모 및 안전분야 계기교육을 자율적으로 실시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사고 당일인 16일 오전 10시를 희생자 추모의 시간으로 정해 묵념토록 했다. 시·도교육청도 일제히 공문을 내 관내학교들에 전달했다.
일선학교들 대부분은 당일 오전 전교생이 일제히 묵념하는 시간을 갖고 안전교육도 자율적으로 실시했다. 그러나 일부를 제외하고는 특별행사까지 마련하는 것은 자제했다.
서울 A고 교장은 “희생자 추모 이외 다른 행사는 준비하지 않았다”고 딱 잘라 말했다.
경기 B초 교장 역시 “교육청에서 여러 가지 주문을 하는 것 같은데 우리는 기본적인 추모만 실시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소수 교사들은 시국선언을 하고 정권 퇴진 운동까지 펼치며 연가투쟁까지 계획하는 등 다분히 정치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를 보는 학부모들은 우려하고 있다.
서울 C초 학부모 신모 씨는 “참사가 되풀이 돼선 안 된다는 것은 당연하고 이를 교훈 삼아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자는 것도 동의하지만, 아이들이 있는 교실을 떠나 정권 퇴진 투쟁을 한다는 건 승객들을 버리고 홀로 세월호를 탈출한 선장과 마찬가지인 것 같은데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며 “선생님이라면 학생 곁에서 교육적 승화를 고민해야 하는 게 본분”이라고 지적했다.
전북 D고 학부모 김모 씨는 “주말 대규모 집회에 참석해 지나치게 폭력적이고 불법적인 방법을 동원하는 일부 교사들을 보고서 교육자답지 못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학생들이 보고 따라할 경우 학교폭력으로 이어지지 말란 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공교육살리기학부모연합과 전교조추방범국민운동본부는 16일 서울지방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국선언 교사 100여명을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교육당국도 정치적인 교사들의 시국선언이 현행법 위반이라며 법적 조치를 요구한다는 방침을 전했다.
교육부는 “청와대 홈페이지 게시판에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 폐기 등과 관련해 박근혜 정권 퇴진을 요구하거나 동조한 교사 111명을 전원 형사고발하고, 해당 교육청에 징계를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각 시·도교육감들, 특히 진보교육감들 역시 교사들에게 이럴 때일수록 교육현장을 지켜야 한다고 주문하고 나섰다.
그러나 현장 교사 대부분은 진보교육감들의 이런 주문에 대해 불신하는 모양새다. 교육감들이 세월호 참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현장을 들끓게 하는 마당에 진정성이 부족하다는 반응이다.
서울 E초 교장은 “교육청이 이달 초부터 세월호 참사 1주기에 학생인권, 자치 강화를 들먹이며 초등생까지 정치적으로 동원하려 한다”며 “이런 방침들에 대한 영향이 아직 가시적으로 드러나진 않았지만 학생인권 강화로 이어져 교권이 더욱 침해당할까 두렵다”고 털어놨다.
이에 앞서 한국교총도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움직임을 경계해야 한다는 논평을 내고 차분한 추모를 요청했다.
교총은 참사일 이틀 전인 14일 “철저한 진상규명과 세월호 인양,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은 반드시 필요하며 참사 1주기가 ‘새로운 대한민국, 함께 만들어 나가자’는 국민 다짐의 날이 되길 진심으로 기대한다”면서도 “각계의 추모행사는 존중돼야 하나 차분한 추모 분위기를 해치는 소수 교원들의 정권 퇴진 주장 등 집단적 정치활동에 교총은 동의할 수 없다”고 자제를 촉구했다.
이어 “전국의 교육자들과 함께 희생된 제자들을 추모하고 유가족의 아픔을 같이하면서 제자를 구하고 살신성인한 단원고 선생님들을 우리 사회가 영원히 기억해주길 기대한다”며 “구조됐다 제자를 잃은 슬픔에 유명을 달리한 단원고 교감선생님의 명예도 찾아주길 호소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