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록위마(指鹿爲馬)’라는 말이 있다.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부른다는 뜻으로 남을 속이기 위해 옳고 그름을 바꾸고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로 만들어 강압으로 인정하게 할 때 빗대는 표현이다.
일본 정부의 치밀한 외교 전략
봄의 합창이 한창인 이때 이 말을 떠올리게 된 것은 ‘독도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내용을 담은 일본 중학교 교과서 검정통과와 ‘임나일본부설’까지 정설로 활용해 연례행사처럼 역사 왜곡에 열을 올리는 일본 정부의 편향된 역사의식을 접하면서다. 이런 일본 정부 우경화는 아베 신조 총리가 집권한 이후 파죽지세로 이어지고 있다. 심지어 그는 패전 후 만들어진 평화헌법 제9조 개정을 통해 또 다른 패권 국가를 꿈꾸고 있다.
일본의 야심을 보면서 ‘징비록’을 떠올려 본다. 징비록은 전시 재상 류성룡이 관직에서 물러나 임진왜란 7년 동안 조정에서 보고 느낀 것을 기록한 책으로 ‘내가 스스로 반성해 후환을 대비한다’는 뜻이다.
아이러니한 일은 이 책이 숙종 때인 1695년 일본에서 번역 출간됐는데 일본을 방문한 조선 사신이 이 사실을 알고 조정에 보고하자 서인(西人) 정권이던 조정은 징비록을 금서로 지정했다. 이와 함께 류성룡에 대한 평가도 사실상 ‘금기’가 됐고 400년간 조선에서는 누구도 징비록을 읽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400년 후 조선은 또 일본의 침략을 받아 35년간 식민지에 놓이게 된다. 즉 ‘징비(懲毖)’에 실패한 것이다.
이렇게 재현된 형국을 보면 아프리카 초원의 타조의 습성이 떠오른다. 타조란 새는 적이 쳐들어오면 도망가거나 덤벼들어 싸울 생각을 않고 대신 움푹한 모래 속에 머리를 처박는다고 한다. 이유는 눈앞에 닥친 위기를 극복하기보다는 애써 잊어버리는 편을 택하기 때문이다. 마치 우리 선조들이 임진왜란 직전에 보여줬던 행위와 별반 다를 게 없다 하겠다.
일제강점기를 지나 첨단 정보화시대에 사는 지금은 어떠한가. 겉만 다르지 근본적인 국제사회의 틀은 그 때와 거의 흡사하다. 우리를 둘러싼 주변 강대국들은 여전히 자국의 이익을 위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 한 예로 일본과 더불어 역사 왜곡을 하고 있는 중국의 동북공정이다.
미국은 어떠한가. 영국 BBC의 2014년 국가 이미지 조사 결과를 보면 전 세계에서 일본을 가장 좋아하는 국민 중의 하나가 미국국민이라고 한다. 전후 일본은 국제정치에서 미국의 중요성을 깨닫고 비공식 외교와 공공외교를 통해 미국인들의 마음을 긍정적으로 돌려놨다. 우리가 미국에 대해 복잡다단한 마음으로 주춤하는 동안 일본은 집단주의적 사고로 ‘친일 인사’를 적극적으로 포섭한 결과라고 한다.
조선시대 실패한 ‘징비’가 필요한 때
다가오는 29일 아베 일본 총리가 미국 의회에서 연설하기로 돼있다. 과연 일본의 역사인식,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어떤 언급이 나올지 궁금하지만 지금 상황에선 반성을 모르는 일본 정부에 일말의 기대를 하기는 어려운 지경이다. 역사를 손바닥으로 가릴 순 없다. 그러나 일본이라는 나라는 자국의 실익을 위해서 물밑에서 치열한 로비를 한다. 그에 비해 우리 정부는 역사문제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을 놓고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 주목끌기용 일회성 행사로 다루고 다소 감정적으로 다가서는 경향이 짙다. 좀 더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꽃이 진 자리가 더 예뻐 보이는 봄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망언 중 ‘침략의 정의는 정해지지 않았다’는 말이 번개를 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