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교육청 3층에는 ‘에듀힐링센터-Tee센터’라는 간판이 걸린 작은 방 하나가 있다. 이 곳은 선생님들이 마음 놓고 울며 이야기할 수 있는 해우소다.
마음 다친 교원 ‘해우소’ 필요
학부모가 전화를 걸어 다짜고짜 욕설을 퍼부어도 한 마디 대꾸 없이 듣기만 한 A교사, 장난이라며 던진 돌에 맞은 B교사, 교권 침해로 학생을 마주하기가 무서운 C교사는 센터를 찾아와 큰 소리로 엉엉 울기도 하고 그저 훌쩍이다가 마음의 위로를 받고 돌아갔다.
일주일에 한 번씩 다녀갔을 뿐이다. 상담가는 “그랬군요, 힘드셨겠네요”라는 말만 했을 뿐인데 선생님들은 환한 얼굴로 자신감을 회복해 가고 있었다. Tee센터(Teacher education emotion center)는 대전교육청이 운영하는 교원심리상담센터의 이름이다.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 않는다’는 말은 사라진 지 오래다. 선생님에 대한 사회적 예우는 교육 서비스 요구나 학생 인권에 밀려 그저 직업인으로 취급될 뿐이다. 이런 교사들을 보면서 마음 터놓고 말할 수 없는 문제들을 함께 풀 수 있는 방안을 생각했다.
2013년 전문직으로서 교육청 차원에서 에듀힐링센터의 설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파일럿 검사를 실시했다. 학교급별로 나이와 성별을 고려해 ‘온라인심리검사-면대면상담-치유’의 원스톱상담을 진행한 결과 97.9%의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하지만 Tee센터는 2015년에서야 교육감을 비롯한 구성원들의 의지와 공감대 형성으로 빛을 보게 됐다.
Tee센터를 1년여 운영하면서 교권침해를 당한 C교사의 눈물을 함께했다. 학부모, 학생, 관리자에게 느끼는 분하고 서운한 감정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Tee센터에서 상담가를 만나고, 변호사에게 법률 자문도 했다. 내면의 자기애를 바탕으로 치유가 시작됐다. 교권침해 학생에 대한 처벌이 왜 그리 미약하냐고 흐느끼던 D교사의 마지막 결정은 ‘용서’였다. 학생들을 차마 마주할 자신이 없어서 출근을 꺼리던 그 젊은 교사가 거듭 나는 동안 센터는 그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 할 수 있도록 응원하고 지지했다.
치유지원센터 활성화해야
지난 2월 ‘교원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됐고 8월 4일부터 시행된다. 그 중 ‘교원치유지원센터 지정·운영’이 법제화 돼 교권침해 교원을 위한 심리상담 및 의료지원이 보장될 전망이지만 당장 센터를 지정·운영해야하는 17개 시·도교육청에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Tee센터는 관내 대학이나 상담센터 등 여러 기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진다. 센터는 교원과 상담가를 연결하는 창구이자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별도의 공간과 인력이 없어도 가능하기 때문에 각 시·도교육청이 벤치마킹하기에 적절한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이상적인 학교는 교육의 3주체인 학생·학부모·교원이 소통과 공감으로 학생의 바른 성장을 돕는 것이다. 교사뿐만 아니라 학부모 상담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학생·학부모·교원의 마음이 단단해지는 그날까지 응원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