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신청’ 3개 학교 불구
11개교 목표에 10개교만 지원
서울교육청이 올해 하반기 추가 지정을 위해 서울형혁신학교를 공모한 결과, 신청학교가 미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을 배제하고 학부모 동의만으로 신청할 수 있게 문턱을 낮췄지만 현장의 호응을 얻지 못했다.
지난달 28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신규 혁신학교 지정 목표는 11개였지만 신청학교는 10개에 그쳤다. 이 중 학부모 동의만으로 신청한 학교는 3개교였다.
시교육청은 현재 10개교에 대한 현장 심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빠르면 8일쯤 지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11개교를 신규 지정해 총 130개교 운영을 목표로 했는데 신청학교가 10개교에 그쳤다”며 “연 단위로 움직이는 학교 특성상 하반기 응모가 어려운 점이 있어 그런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작년 하반기 공모 때도 12개 목표에 10개 학교만 신청해 미달을 빚은 바 있다.
하지만 지난 5월 시교육청이 단위학교 전체 학부모의 25% 동의만으로 신청이 가능하게 요건을 완화했음에도 미달된 것이라 혁신학교 자체에 대한 거부감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들어 혁신학교를 경험한 교원들 사이에서 ‘학생 기초학력 저하’, ‘주도교사와 일반교사와의 갈등’ 등 부작용이 거론되며 "돈으로 하는 혁신이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는 부정적 의견이 늘고 있다.
A중 교사는 “일부 혁신학교 교원들은 교육보다 예산 사용에 더 신경을 써야 하는데다 주도 교사들의 의견에 동조하지 않을 경우 빚어지는 마찰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며 “특히 학교 최고 책임자인 관리자의 의견이 무시되는 의사결정 구조에 회의감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문제는 갈수록 더 심화될 것이라는 게 현장의 우려다. 학부모 동의만으로 신규 지정 되는 학교의 경우 교원들과 학부모 간 갈등의 소지가 다분하고, 실제로 신청과정에서 몇몇 학교는 잡음을 빚었다.
또한 신규 지정 혁신학교에서 근무를 원하지 않는 교사에 한해 전보를 허용했던 인사방침을 내년 3월 1일부터 폐지하기로 한 것도 교원들의 불만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지적이다.
B초 교사는 “시행 5년 동안 1000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된 사업이지만 대다수 학교가 외면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일부에서만 환영받는 제도라면 중지하는 게 마땅하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