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중심의 학습, 과정중심 평가 및 기록, 대입 연계’를 발표한 진동섭 한국진로진학정보원 이사는 “학생 참여 수업과 평가 및 학생부 기록을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실제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며 “나아가 수능이 이에 걸맞게 개편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진 이사는 “교과교실제는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은 물론 학생 활동중심 수업방법 개선에 좋은 효과가 있다”면서 “하지만 수능 대비 수업을 중시하는 학교에 맞지 않고 이 때문에 교육당국도 확대에 주저하고 있다”이라고 말했다.
수능이 학교수업을 ‘제약’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습을 촉진하는 것은 어렵다는 설명이다.
그는 “수능을 잘 보려면 기출문제를 암기하고, 지난해 모의고사 문제를 풀고, EBS 수능 대비 문제집을 푸는 방식으로 공부해야 하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해 수업을 다양화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어 “학교교육과정 204단위 중 106단위만 수능에 해당하는 단위”라면서 “남은 98단위의 학습과 창의적 체험활동 등이 잘 운영되거나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진 이사는 학급 당 학생 수를 20명 수준으로 줄이는 노력과 함께 학교에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권을 부여하고 교육당국의 지속적 관심도 주문했다.
그는 “학생 수가 예전보다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40명 수준의 학급이 있는데, 이런 경우 분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면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 이수단위 문제로 학생 참여형 학습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자율권을 넓혀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현장교원 토론 주요내용>
“과정 중심 평가, 기준 마련 어려워” “학생·학부모 민원에 교권추락 우려”
박경아 경기 천천중 수석교사·국어=학교 현장에서 수업의 변화와 과정 중심의 평가에 대한 의지가 있어도 쉽게 나아갈 수 없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보고 해결방안을 찾아봐야 한다. 도달해야 할 성취기준이 너무 많다. 통폐합해 운영할 수 있지만 생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피드백 과정이 중요한데 현 교육과정 속에서는 피드백을 진행하기에는 수업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학생들의 성장 과정을 평가에 반영하고 싶어도 학생들과 학부모의 민원이 발생할까 뜻을 펼치지 못한다.
이명희 강원 춘천여고 수석교사·영어=교사의 역량에 따라 수업효과의 차이가 매우 크고 진도가 너무 늦는다. 일부 학생들은 원하지 않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참여형 수업내용을 강의형 수업으로 다시 정리해줘야 한다. 학교 급 별, 교과목 별, 학급구성원의 특성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과정 중심 평가도 공정한 기준마련이 어렵고, 주관적 평가로 인한 학생·학부모 문제제기가 많아져 교권 추락도 우려된다. 현 수능체제하에서 이중 학습 부담도 크다.
정규성 경기 군포고 수석교사·수학=학교는 행복한 곳이어야 한다. 교사와 학생의 만남이 가장 많이 이뤄지는 수업이 즐거워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들이 수업에 대한 주도권을 회복하고,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학습에 대한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대구 중앙중, 경북사대부중과 프로젝트 수업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급 내 교우관계가 확장되고 학생 협동심이 향상됐다.
이순덕 경기 부안중 수석교사·통합사회=2018년부터 적용되는 통합사회가 뿌리내리기 위해 일단 지리, 역사, 일반사회 전공 및 윤리 전공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를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 또 암기과목이라는 인식을 벗어나 실천적 수업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통합사회를 구성하기 위해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방법과 관련한 직무연수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지역과 광역 차원에서의 사회과 교사들의 교과연구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도 해줬으면 좋겠다.
김수겸 인천 백석고 수석교사·통합과학=학습태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성취평가제에서 근거를 마련해야 하고, 학기단위로 성취수준을 평정하는 방식에서 성취기준별로 평정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 학기단위 성취수준 평정은 과정보다 결과를 평가하는데 초점이 맞춰진 것이다. 고교는 의무교육 기관이 아닌데 출석일수만 충족하면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처리되는데 이는 맞지 않다. 과목별 유급제를 도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