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이 생동하는 봄이기도 하지만 학교의 3월은 새로움입니다. 새로운 아이들을 만난다는 기대로 부풀기도 하고, 학교를 옮기고 새로운 동료들을 만나야 하는 설렘도 있지요.
왜 기쁨뿐이겠습니까?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각 개인의 이해관계가 걸린 문제인 만큼 인사가 어렵다는 얘기겠지요. 제 입에만 맞는 떡이 없듯 살다보면 뜻대로 되지 않는 일도 많을 겁니다.
이 세상에 하찮은 것이나 쓸데없는 일이 어디 있겠습니까? 혹 원하는 인사가 아니었더라도 빨리 잊고 하루하루를 즐겁게 보내는 일이 중요합니다. 정기 인사이동이 있던 만큼 모임이 잦으니 이러저런 말들도 많이 하게 마련이고요.
뭘 그리 알고 싶은지 인사철마다 새로운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가 입에서 입으로 관리자에게 전해지지요. 신임 직원에 관한 정보를 모르고 있어도 정보화 시대에 역행하는 것은 아닐 텐데요. 좋은 얘기만 전해진다면야 얼마나 좋겠습니까? 전하는 사람의 주관이 들어있는 어찌 보면 한낱 푸념에 불과한 정보들이 많다는 게 문제지요.
나쁘게 보면 한없이 미워질 수 있는 게 인간입니다. 환경에 따라 다른 행동이나 사고를 할 수 있는 것도 인간입니다. 부임도 하기 전에 새로운 직원에 관해 나쁜 사람이라는, 일을 못한다는 잘못된 정보를 머릿속에 각인시킨 관리자는 없었는지요?
조선 최고의 명재상으로 추앙받는 황희정승이 젊은 날 들판을 지나다 두 마리의 소로 논을 갈고 있는 농부에게 어느 소가 일을 잘하는지 물었다지요. 그때 농부는 황희정승을 소가 보이지 않는 곳까지 데려가 '누런 소가 검은 소보다 일을 잘한다.'고 귀엣말을 하더랍니다. ‘말 못하는 짐승이라도 자기를 욕하고 흉을 보면 기분을 상하게 된다.'는 농부의 말에 교훈을 얻은 황희정승은 훗날 백성을 위해 일을 했고요.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본인을 직접 보고 평가해야 할 겁니다. 물론 그 분이 계획하고 몸소 실천하는 일들을 낱낱이 알기 전에는 섣불리 평가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고요. 어찌 보면 관리자의 덕목 중 가장 중요한 게 인화를 잘 시키는 것입니다.
훌륭한 관리자는 권위를 감추면서 직원들이 스스로 따라오게 만듭니다. 선입견을 바꾸는 게 어디 쉬운 일이겠습니까? 미리 나쁜 쪽으로 평가할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줄까 연구해야 합니다.
새로움이 넘치는 이 좋은 계절에 필요악인 인사철의 꼴불견을 생각하다보니 '너무 많은 것을 알려고 하지 마. 그러다가 다쳐'라는 우스개 소리가 떠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