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이 시작된 이후 한국 교육계는 어떻게 변했는가? 교육의 과학화를 실현한다는 목적으로 학교에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다량의 도구를 들여 놓았다. 학생은 좁은 교실에서 대형 프로젝트 TV와 OHP를 통해 수업을 하고, 영상실에서는 멀티 화상을 통해 특별활동 수업을 시작하였다. 그야말로 다면적인 평가를 위해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교는 아우성이었다. 그런데 7차 교육과정이 끝나는 지금 그 결과는 과연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말이 없다. 이직도 시간이 있어서 그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일까
# 8차는 교사 전문지식이 우선
7차 교육과정의 핵심은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이끌어 내 일제학습이 주는 효과보다 더 좋은 길을 찾아내려는 데 있다. 7차 교육과정의 핵심은 크게는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자립정신을 길러주는 특별활동이다. 학생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일제수업의 두 배 이상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 학습교재도 단순 교과서 위주에서 다면도로 활용할 수 있는 교사 자신만의 노하우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일선 학교 교사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는 것으로 여긴 전통적 교육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서 나타나는 수많은 양의 정보를 교사 자신이 걸러낼 수 있는 역량이 갖추어져야 한다. 그렇다고 교사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이끌어 나갈 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교사가 인터넷에 나타나는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는 단순한 교과서의 지침서에 따라 가르치는 데 지나지 않다든가 인터넷상으로 떠오르는 문항을 제시하는 데 그친다면 그것은 기존의 일제수업보다 못하는 결과를 만드는 꼴이 된다. 인터넷에 떠오르는 다양한 지식을 학생들이 어떻게 받아들여 교사와 토의하여 수업을 전개시켜 나가느냐 하는 것은 교사의 몫인 것이다. 보충수업에 교과서 학습에 잡무까지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일들이 교차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들을 만능 탤런트로 여기는 교육제도상의 모순에 교사다면평가는 시기상조일 수밖에 없다. 다만 새롭게 채용하는 교사들로 하여금 계약제를 도입하는 방안이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
8차 교육과정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비전문적 지식으로 특별활동을 가르치는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직무연수와 자격연수를 더 강화시켜야 한다. 단순히 승진을 위한 교육에 그치는 교육으로는 7차 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8차에서 수행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따라서 8차 교육과정은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이 되어야 마땅할 정도다. 교육의 수준은 교사의 질이 능가하지 못한다는 것은 이제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일이다. 그 만큼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교사를 위한 다면평가제 도입이 교사들의 입을 통해 거부하는 것은 교사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모순점과 복지 정책을 펼쳐내 놓지 않은 상태에서 교사들로 하여금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불러일으키라는 의도는 좀 지나친 것 같다. 끝없이 변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의 교육은 교육매체의 후진성으로 변화되어 가는 현실과 조화를 맞추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신세대들의 기호에 맞는 교육의 성과를 이루어내지 못하는 여기에서 교사와 학생의 갈등, 학부모와 학교의 불신의 벽이 존재하는 것이다.
빠르게 변해가는 학생들의 지적, 정의적 영역의 수준을 교육의 성과로 이루어내는 데는 경제적 부가가치가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국이 후진국에 처해 있을 때 교사는 존경의 대상으로 여기었으나 오늘날 교사가 경제적으로 빈약한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존경의 대상이 되기보다 교사에 대한 인기를 추락하게 만들어 교직 기피현상을 만들어 내고 있었던 것이 기존까지의 추세였다. 최근에 교직에 대한 신세대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교직이 계약제로 가지 않고 한번 직장에 들어서면 평생보장 된다는 무사안일주의 사고도 한몫을 하고 있음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 다면평가는 교육의 다면개혁부터
진정한 교사 다면평가제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누가 이 질문에 제대로 답할 수 있을까. 그러면 대학에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필자는 서울 모 대학교내에서 다면평가제로 실시되고 있는 교수평가제에서 대학간의 평균이 4.5만점에 4.0을 넘어서고 있는 것을 경험한 적이 있다.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그것도 수업에 대한 평가, 시험에 대한 평가, 교재에 대한 선택 등이 평균 90점을 넘어서고 있어 혹자는 이것을 곰곰이 생각해 본 적이 있었다. 과연 대학생이 수업에 졸지도 않고 그 수업에 90% 이상이 잘 청취하고 있는지 그것이 의심스러웠다.
실제 강의를 해 보면 아무리 강의를 잘 하려고 해도 — 교수법이 코미디 수업으로 전개되어야만 되는 것인지, 그래야만 모든 학생이 청취할 것인지 — 의심스러울 때가 많다. 그래도 그들은 교수평가에 있어 평균이상으로 교수의 수업을 평한다. 이것은 한 사례에 불과하지만 대학에서도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는 교수평가제를 일선 고등학교에서 실시한다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하고 싶다.
지금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것은 8차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길러내는 일이 시급하다. 그리고 교사에게 연구할 수 있는 인센티브를 먼저 제공하여 교사의 자발적인 연구풍토를 북돋워야 한다. 1년 내내 한 편의 새로운 논문도 읽어볼 시간적 여유가 없고 교육에 대한 잡지도 제대로 읽을 시간이 없는 교사가 대부분이라면 교육의 새로운 비전을 기대하는 것은 잘못이다. 교사들로 하여금 교육의 변화에 동참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낼 때 교육개혁도 8차 교육과정도 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교사의 지방직 전환을 통한 교사의 초빙제 강화를, 자립형 사립학교를 통해 학생들의 수준별 수업에 대한 불만의 해소를, 교사의 인사제도 개선을 통해 연구점수를 드높이는 승진제도를 도입하고, 운영위원회의 권한도 시의원 교육위원의 중복되는 권한 분리도 서둘러 바로잡아 교육계의 자립정신을 바로 세워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