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학교 폭력 예방 대책이 연이어 매스컴을 울리고 있다. 교육청은 교육청대로 폭력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려고 연일 분주한 모습임을 학교 일선에서는 느낀다.
학교에서 일어나는 자잘한 일들처럼 빙산의 일각으로 여겨왔던 것이 기존의 입장이었으나, 이제는 학교 현장의 중요한 일이 되어 버렸다. 학생은 교사의 지시를 선택해서 받아들이고, 자신의 신체에 가해지는 미미한 회초리도 필요악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기에 회초리로 교육받은 기존의 교사들은 신세대들의 이런 행동을 받아들이는데 갈등을 겪는다.
이런 하나하나가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사이에서 때로는 불가피한 언쟁으로 이어지면서 학교와 학부모의 갈등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다반사가 되었다. 교육의 장이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학교와의 사이에서 유연한 관계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실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은 학생의 인성교육이 아닐까?
담장 속에 갇힌 인성 교육
학교에서 발생하는 많은 일 중에서 학업에 지장을 줄 정도의 사건이라면 그것은 학생부와 인성부의 몫이 된다. 학년중심제로 전개되고 있는 학교 체제에서는 학생에 대한 사건을 학년부에서 일차적으로 매듭짓고, 그래도 묵과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학생부로 넘겨지고 이를 바탕삼아 인성담당부서는 학생의 바람직한 삶의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하는 임무를 띠게 된다.
인성담당부서는 학교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부적응과 가정의 부조화로 인해 바람직한 인성이 형성되어가지 못하는 학생에게 건강한 정신을 소유하게끔 교정시켜 올바른 학습의 길로 유도하는데 있다. 그럼으로써 학생은 학교생활에 충실하게 되고 자신의 자아를 찾게 된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 인성담당부서는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명명되어 있지만, 학생의 인성을 맡고 있는 교사는 수업에 대한 부담도 덜어야 하고, 상담에 대한 전문기법도 숙지하여야 한다. 하지만 현장 교육은 그럴 여유조차도 없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겨우 사이버 교육을 통해 전개되는 교육을 받거나 자격증을 위해 받는 교육이 전부일 뿐 전문상담 교사가 주기적으로 상담에 대한 기법을 익혀 나날이 늘어가는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책을 마련한 적은 있는가 묻고 싶은 때가 있다.
인성담당부서는 타 부서와는 달리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평수도 훨씬 넓다. 그리고 내부엔 소파도 안락의자도 피상담자의 마음을 포근하게 만들기 위해 마련되어진 것이다. 그런데도 왜 학교의 인성은 마치 먼 이국적인 나라에서나 있는 것처럼 들릴까? 정작 학교 현장에서 인성담당부서는 어떤 상태로 방치되고 있는가? 문제 학생을 치료하기 위해서 장기적인 계획은 무엇일까? 사건이 일어나면 일회용으로 한 번 불러서 당부하는 것, 그것이 상담교사가 하는 전부가 아닐까?
진정 학생의 치료가 일회용으로 치료될 대상인가? 꾸준한 관찰, 꾸준한 상담 그것이 지금부터라도 시작돼야 한다. 인성담당부서가 기존의 학교폭력에 부작위(不作爲) 역할을 한 것을 부정할 수 없다. 과학적인 처방에 과학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서둘러야 그나마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등학교에서 인성담당교사의 수업이 다른 교사에 비해 적은 학교가 얼마나 될까? 거의 없는 실정이 아닌가? 그리고 그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에 얼마나 많은 연수를 받았으며 또 상담 자격증은 소지하고 있는가? 가진다고 해도 부장 정도만 가지고 있는 실정이니…. 학생은 기계처럼 한 번만 고치면 계속 잘 돌아가는 대상이 아니다. 한 학생을 두고 교내에서 꾸준한 관찰 그리고 가정에서 학생의 태도 등을 수시로 체크할 수 있는 시스템은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한국 교육 아직 살아 있다"
네트워크 시대에 살고 있는 오늘, 학생을 직간접으로 보살필 수 있는 것은 쉽고도 어렵다. 하지만 현재 학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중학교에서는 수업에, 잡무에, 고등학교에서는 대입시 준비에, 과다한 수업 등등 상담 전문부서는 장식장 전시품과 같다고나 할까. 교육부는 교내 경찰을 학교에 배치하기 전에 학교 현장에 있는 부서를 살려가는 방안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엄연히 전문부서를 두고 거기에는 투자도 없이 무조건 학교폭력이 학교가 담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었다고 단념하는 것은 학교의 구조적인 문제를 재진단하지 않고 있다는 산 증거이다.
한국 교육은 아직도 살아 있다. 그리고 순수한 교사와 순박한 학생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학교 폭력 건수가 2천건을 넘어서고 있다고 매스컴에서는 보도하지만 2천건을 치료할 수 있는 학교의 부서에 대해서 공개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금 학교에서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하는 것은 학교 현장의 구조적인 모순을 바로잡아 인성담당 교사들의 수업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하고 둘째는 전문상담 교사와 외부 전문상담단체와 네트워크를 조성해 치료와 상담이 동시에 병행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보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