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1 (목)

  • 흐림동두천 4.5℃
  • 맑음강릉 8.1℃
  • 구름많음서울 6.8℃
  • 구름많음대전 8.1℃
  • 맑음대구 5.6℃
  • 맑음울산 8.0℃
  • 맑음광주 6.8℃
  • 맑음부산 10.4℃
  • 맑음고창 3.5℃
  • 구름조금제주 12.8℃
  • 흐림강화 5.9℃
  • 구름많음보은 6.7℃
  • 흐림금산 7.3℃
  • 맑음강진군 5.0℃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e-리포트(미분류)

하나의 답을 찾는 내비게이션 독서 교육

문명의 발달이 빠르다고 인간의 정서적인 생각조차 빠를 것인가에 대한 회의적 낭만주의는 이미 오래 전의 일이 되어 버렸다. 우리 주변을 스쳐 지나가는 자동차들. 그 차안을 눈여겨보면 길눈이 어두운 사람이나 모르는 여행지를 찾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은 차내에 내비게이션을 정착하고 있다. 그러기에 운전자들은 이 기계가 지시하는 대로만 계속 차를 운전하게 된다.

그것이 정확하든지, 오작동 하고 있든지 상관없이. 오직 하나의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 주변의 사람들에게도 묻는 일이 없이 이 문명의 이기만이 만능이라고 믿고 쫓아 갈 뿐이다. 머리를 쓸 필요도 없고, 상상력을 할 필요도 없다. 자기 차에 정착된 내비게이터가 지시하는 바대로 모두들 하나의 길로만 간다. 다른 도로가 비어 있는지도 모른 채.

# 독서는 또 다른 현실 공간을 창조하는 힘이다.

컴퓨터와 핸드폰 그리고 전자 사전이 없던 옛 시절에는 독서라면 직접 책을 펼쳐 놓고 한 장 한 장 읽어 가는 데 그 재미가 있었고, 그런 언저리에서 펼쳐지는 아기자기한 이야기들과 좋은 어휘들이 마음속에 내재되어 담화나 친구들에게 편지를 쓸 때 인용되곤 했다. 그러던 것이 지금 학생들은 다양한 전자 장비에 의해 공부를 하다 보니 쉽고 건조한 공부를 한다. 책의 힘을 빌리지 않고서도 혼자서. 다만 무궁한 지식의 양을 전자 장비를 이용해 답을 빨리 찾다 보니 그 많은 양을 소화시킬 능력이 문제로 대두되는 실정이다. 스스로 답을 찾아서 읽고 자신의 생각을 펼쳐내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에서 답을 찾는 학습. 문학 과목도, 독서 과목에서도 학생들의 과제가 하나같이 토씨조차도 똑 같다는 것이 보편화된 현실이다.

그 만큼 소설책 한권을 읽고서 자신의 생각을 펼치기보다는 컴퓨터에 있는 그대로의 말을 비판 없이 복사하기에 급급하다. 그것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도 생각하지 않는다. 일선에 있는 선생님으로서 학생들의 독서 교육을 위해 주어진 과제를 발표시켜 보면 하나같이 앵무새처럼 잘한다.

그러나 정작 그것을 읽고 학생이 느낀 소감을 말해 보라고 하면 그냥 “ 잘 읽었습니다” “재미있었습니다”하는 정도다. 단 몇 분을 독서한 내용에 대해 이야기 못하는 것은 하나의 답을 찾는 내비게이션 독서 교육이라고 지칭할 수밖에 없어 보인다.

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독서라는 과목이 생겼다. 그것을 교육시켜야 하는 학교에서는 독서라는 과목에 대해 난감해 했다. 심지어는 독서가 수업시간에 있는데도 자율학습 시간에 학생이 소설책을 읽으면 왜 그런 책을 읽느냐 한 문제라도 문제집의 문항을 더 풀라고 책 읽는 것을 책망하는 선생님이 있었던 때가 엊그제 같이 눈앞에 떠오르곤 한다. 그 만큼 당시 상급 학교의 교육현실은 대학을 위한 몸부림에 아우성이었다.

다행이 2008학년도부터 논술과 면접이 60점으로 서울대 입학 때 반영할 것이라는 발표가 어느 한 측면으로 보면 좋은 면을 안고 있는 것 같다. 흘러간 이야기지만 모 대학 교수가 신입생에게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을 아느냐고 하니, 학생은 서슴없이 작품의 작가까지 말했다고 한다. 그래서 내용이 어떻게 전개되는 지 이야기 해 보라고 하니, 그것은 문제집에서 한 부분으로 나오는 것을 공부했다고 하는 웃지 못 할 대답을 들은 적도 엊그제 같이 생생하게 떠오르는 것이 지금도 씁쓸하게 여겨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독서의 바탕은 지(知),정(情),의(意)에 있다. 지(知)는 사물을 이해하고 인식하며 판단하는 지식 즉 앎을 말하고, 정(情)은 사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일어나는 느낌을 말한다. 그리고 의(意)는 무엇을 하겠다는 마음속의 다짐을 말하는 것이다. 이처럼 독서는 서기향(書氣香)을 통해 마음에서 일어나는 상상력을 창조해 내는 조직적이고 통일성 있는 인간 사고력의 치밀성을 가꾸어 가는 데 있다.

그러기에 독서란 단순히 글을 읽어 나가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읽은 바를 생각하고 생각한 바를 논리적으로 써 봄으로써 비로소 자신의 생각을 체계화시키고 그로 인해 어떤 일을 해 나가는 데 있어서도 한 치의 허점 없이 완벽하게 일을 마무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중시하기 때문에 바로 대학입시에서 논술을 통해 그 결과를 평가해 보자는 것이다. 하늘을 나는 원대한 우주선도 한 치의 오차가 없게 만들어졌을 때 우주 궤도를 돌 때 파괴되지 않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우주선을 만드는 것도 과학도가 설계해 과학자가 만들어 내지만, 그 과학도의 밑바탕을 이루는 치밀한 생각들은 어릴 때부터 독서로 굳혀진 사고에서 나온 것임은 부인할 수 없다.

# 독서는 열린 교육의 속편이다.

6차를 거쳐 7차에 이르러 독서 교육이 더욱 중요시 되는 시점에서 독서 과목은 유명무실해져 문제지나 풀면서 수능 준비 과목으로 수단시되는 현실은 내비게이션을 정착한 차를 타고 목적지를 향해 달려가는 것과 다를 바 없다. 7차 교육과정에서 독서 교과에서 읽혀져야 할 소설은 고등학교 18종 문학 교과에 실려 있는 소설만 100여 편에 이른다. 하지만 100여 편을 읽힐 수 있는 현실적 학교 교육으로는 어렵다.

그러나 이들이 1인당 3권을 읽고도 100여 권을 읽은 효과를 찾지 않으면 안 된다. 중고등학교에서 국어 시간에 10분을 활용하여 미리 주어진 소설 작품을 발표하게 된다면 1주일에 반 당 4시간 국어 수업. 50(45)분 수업을 40(35)분 교과 수업, 10분 작품 발표. 10분에 2명씩 발표를 하게 해 수업을 전개해 나가면 1주에 8명, 한 달에 32명, 석 달이면 100여 편을 발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수업을 전개해 나가는 과정에서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의 차이에 따라 그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지언정 이 방법은 현실적인 상황에서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

그리고 독서 교육의 효과를 창조해 낼 수도 있을 것 같다. 언제까지 중복되는 교과서를 계속 대학입시의 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것인가. 독서라는 과목의 중요성을 살리는 길은 문학 교과와 독서 과목을 통합하는 방안이 다시금 고려되어야 한다. 독서로 창의적 사고를 길러 내는 데 그 주안점이 퇴색되고 있는 현실 교육에서 교사들의 수업부담만 늘리는 교과는 줄이고, 진정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의 영역을 이끌어 내고 자기 주도적 학습 방안이 고려되는 발견학습의 장을 만들어 가는 독서 교육이 아쉬울 뿐이다. 스쳐 지나가는 자동차가 내비게이션을 정착한 결과 모두가 같은 길로 운전하다 보니 오히려 좁은 도로가 더 막히는 역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문명의 이기가 가져오는 오류가 아닐까 쉽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