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신입사원을 뽑은 기업의 인사 담당자들은 ‘신입사원들이 영어는 잘 해도 우리말인 국어실력은 형편없다’며 불만을 토론하고, 신입사원들은 영어 발표에는 막힘이 없지만 ‘우리말로 규격에 맞춰 보고서를 쓰는 게 가장 어렵다’며 사실을 인정한단다.
어휘력은 좋고 말은 잘 하는데 문장으로 엮어내는데 문제가 있고, 특히 논리적인 전개나 어떤 결론을 끌어내는 게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기업의 인사 담당자들 가운데 44%는 직원 채용 시 국어능력 평가를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위 소식을 접하며 퇴임해 지금은 고향에서 농사를 짓고 계신 교장선생님 한 분을 떠올렸다. 그 분은 갑자기 불어온 영어 열풍에 우리의 국어교육이 뒷전으로 밀려나는 현실을 늘 걱정했었다. 자기 말을 가진 나라 중 우리처럼 국어 교육을 방관하는 나라가 어디 있겠는가?
그동안의 교직생활을 돌이켜보면 우리의 교육은 그때그때 만들어지는 교육정책이나 사회적 열풍에 휩싸여 수시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영어 열풍에 희생양이 된 국어교육이 그랬다. 주관이 강해 옳은 말을 잘하던 그 분은 ‘나라 말을 만든 세종대왕이 지하에서 통곡할 노릇’이라며 거꾸로 가는 교육을 탓했다.
그때 그 분이 즐겨했던 말이 또 하나 있다. ‘이러다가 언젠가는 우리말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 많을 것이다.’ 불과 몇 년 전 일인데 그때 그 분이 얘기했던 ‘언젠가는’이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리는 지금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인 21세기를 살고 있다. 이런 다변화 사회에 걸맞게 사람들의 욕망을 충족시키려면 국제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외국어 교육도 받아야 한다. 그러면서 한글을 만들어준 세종대왕께 고마워 하거나 우리말과 글의 중요성을 깨우치기라도 한다면 금상첨화가 아닐까?
우리 한번 깊이 생각해보자. 핸드폰의 자판에 있는 자음 14자, 모음 10자를 손가락 2개로 조합해 어떤 내용의 문자건 다 만들 수 있는 글이 또 있는가? 지금 이 순간 시공을 초월해 날아다니는 각종 문자메시지의 혜택을 누리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는가? 한글 때문에 누리고 있는 문화혜택을 간과해서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