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반의 한 여자 아이가 자기 딴에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듯 진지하게 물어온 얘기다. 그러고 보니 내게 먼저 인사를 하는 아이들에게 ‘착해요, 예뻐요, 고마워요’라고 말하는 게 습관이 되었다. 때로는 ‘아이고 착해요, 아이고 예뻐요, 예 고마워요’라고 좀더 감정을 실어 말하기도 한다. 언제부터 그렇게 말했는지 기억나는 것도 없고, 불쑥 성질머리를 못 참아 화를 내기도 하고,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은 채 던지는 말이건만 교사의 입에서 나온 존댓말이기에 아이들에게는 신기하게 들리나보다.
아이들에게 존댓말을 쓰기 시작하면서 재미있는 일들도 많이 생겼다. 지난달에는 수업검토를 하는 자리에서 동학년 여선생님이 ‘옆 반 선생님에게 경어 사용을 배웠다’고 말해 학창시절부터 내 성격을 잘 알고 있는 담당 장학사를 의아하게 했고, 어느 학교에 부임하든 며칠만 지나면 골마루나 운동장에서 내 옆을 지나쳤다 인사를 하기 위해 쭈뼛쭈뼛 다시 곁으로 다가오는 아이들을 발견한다.
물론 친구가 인사를 하든 말든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는 아이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친구가 선생님에게 존댓말로 인사 받는 것을 보게 되면 바로 자세를 고쳐 인사를 한다. 저학년 중에는 멀리서 뛰어와 숨을 헐떡이며 인사를 하는 아이도 있다. 때 묻지 않은 아이들의 순수하고 귀여운 행동을 보노라면 가슴 속 깊은 곳에서 희열을 느낀다.
그런데 요즘 아이들 입만 벌리면 욕을 한다고 걱정들을 한다. 아이들과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나도 그걸 심각하게 느낀다. 아이들의 대화를 자세히 관찰해본 사람이라면 ‘상스러운 말을 얼마나 쓰는지, 교육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실감한다. 더 큰 문제는 말귀를 잘 알아듣지 못하는 저학년 어린이들보다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고학년 어린이들이 더 상스러운 말을 자주 한다는 것이다.
뒷받침 잘하는 학부모일수록 학생에게 시험성적 높이는 방법을 가르치는 학교를 좋아한다는 것 모르는바 아니다. 하지만 인성교육을 소홀히 하고 어떻게 교육과정을 이수했다고 자부할 수 있겠는가? 머리 좋은 어른들이 나쁜 짓을 많이 하듯, 교육을 하루라도 더 받은 어린이들이 상스러운 말을 많이 사용한다면 어떻게 교육이 정상화 되겠는가?
‘선생 똥은 개도 안 먹는다’는 옛말이 있다. 남을 가르치는 일이 어렵다는 걸 다른 사람들도 안다는 얘기다. 자식 때문에 애간장을 태우는 게 부모다. 어떤 부모든 자식 교육에 방관자일 수 없다. 어린이들이 상스러운 말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 물론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교사나 부모가 손을 떼면 누가 바로잡겠는가?
뚱딴지같은 얘기지만 이번 여름방학에는 아이들이 고운 말만 사용하게 하자. 그러려면 고운 말을 사용하는 아이에게 교사나 부모가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칭찬이 많으면 못할 게 없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고, 아이들의 꿈도 키워준다. 고운 말을 사용하게 하면서 '선생님의 칭찬은 학생들이 서로 먹으려 한다', '부모님의 칭찬은 자식들이 서로 먹으려 한다'는 새로운 속담을 만들자. 그 주인공이 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