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용 인조화의 아름다움! 그 관조의 미학은 한여름 시원함의 마찰일까? 뭇 사람들에게 다양한 관조의 찬미를 주는 것일까? 자라는데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했기에 야생에서 자라는 나무모양 제 형상을 내지 못하고 뒤틀리고 오므라들고 휘어지고 기울어지게 자라도록 하는 정원사의 창의력이 우리네 인간들에게 무엇을 연상하게 할까? 역사에 위대한 지도력을 자랑한 인물도 사람을 다스리고 이끌어 가는 데, 소속 집단 내 다수 사람들의 인성을 조화시켜 나가는 오묘한 심리전을 잘 이용했기 때문이 아닐까? 세계를 놀라게 한 한국전쟁을 승리로 이끈 맥아더도 그의 전술의 뛰어남도 있었지만, 전술의 심리전을 더 잘 활용한 덕분에 그 빛나는 성과의 미학을 맛본 것이 아닐까?
한국 사회가 6.25를 거치면서 외국 구호품에 의존하면서, 서구 자본주의 사회를 맛보는 1930년대 모더니즘의 부활을 다시 한번 맞이하게 되었고, 1970-1980년대에 나타난 사실주의 소설들이 등장한 것도 한국 사회에 용솟음치는 젊음이들의 민주화에 대한 요구가 봇물처럼 터져 나오기 시작하면서 1920년대 프롤레타리아의 투쟁의식을 재현시켜 주는데 안성맞춤이었다. 투쟁은 공장에서, 학교에서, 직장에서, 그리고 사회 각 집단을 가릴 것 없이 나타난 민주화의 요구. 그 앞에는 아무것도 없는 듯했다. 기성세대도 신세대도 없이 세대간의 구별이 모호해지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1990년대에 접어들어 무크지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개개인의 소질과 능력이 중시되는 사회로 뻗어가기 시작하였다. 그것은 전문가만이 전문 분야에서만 할 수 있다는 틀을 과감하게 깨뜨리고 누구나 글을 쓸 수 있다는 신진 작가들의 작가군이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이 시기에 나타난 대표적인 여성 작가 공지영의 소설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용어가 활짝 날개를 펴는 듯했다.
탈사회, 탈교육, 탈이념, 탈근대 등등 이루 말할 수 없이 한국 사회를 오랫동안 지배해 왔던 기존질서에 대한 의식을 바꾸기 시작하였다. 아놀드 토인비도 그의 “역사의 연구” 제1권(1938년에 쓰여졌으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인 1947년에 출간되었음)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용어를 쓰고 있다. 토인비는 이 경우 포스트모더니즘이란 1875년을 기점으로 하여 서구의 패턴이 소멸했으며, 개인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기독교가 쇠퇴함에 따라 비서구권 문화가 일어나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됐음을 지칭하는 용어로 쓰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 포스트모더니즘 용어가 그 기반을 내리는 것은 1960년대라고 하여도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한국 사회의 탈이념주의 특히 기존 학교교육에 회의를 표출하면서 이미 학생들이 선생님을 보고 인사를 하여야 한다고 하는 고정관념은 흔들리기 시작하였다고 보아도 무리가 없는 듯했다. 기성세대에 대한 존경심이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기존 교사들의 전문지식도 의심받기에 이르렀다.
인터넷의 등장은 탈교육을 더욱 부추기는 양상을 만들었고, 기존 교사들의 지식으로는 인터넷에 있는 이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데 한계를 드러냄으로써 교사에 대한 능력을 의심하기에 이르렀고, 이제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학교 교사에 대한 평가를 도입하겠다고 새로운 아우성을 자아내기에 이르렀다. 교사들은 교사를 평가하기에 앞서 학생들에게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여건개선을 들고 나오기 시작하였다. 학생들은 학교보다 학원을 더 중시하는 경향으로 기울고 있다. 되물어 본다면 그것은 배우고 싶은 생각이 학교보다는 학원을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현장을 지켜가는 교사의 마음을 더욱 착잡하게 만들고 있다.
이제 인성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설인가 아니면 탈포스트모더니즘의 재현인가? 대학에서 논술을 중시한다고 하니 서점에서나, 인터넷에서나, 학원에서나, 논술에 대한 책들이 홍수처럼 쏟아지고 심지어는 초등학교에까지 논술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여 사교육비를 부추기면서 자라나는 새싹들의 인성교육은 먼 옛날의 동화 이야기로 들리는 듯하다. TV를 켤 때마다 터져 나오는 정치인의 비화들은 한국 사회의 장인정신의 부족 탓일까? 아니면 인성교육의 부재 탓일까? 오늘 한국 전통 선비들의 예법을 아직도 지켜 가고자 안간힘을 쓰는 경남 청학동 몽양당 예절학교가 유난히 빛나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