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터는 교감, 교장, 장학사, 연구사, 장학관, 연구관들의 모임에 회원 자격으로 참석한 일이 있다. 그 자리에서는 자신의 교육철학이나 학교경영 성공사례 등을 허심탄회하게 주고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모 지역교육청 K교육장의 말씀이 공감이 되어 소개하고자 한다.
그는 '교육의 주안점'을 이렇게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교육이 발전하려면 학교장 중심의 학교경영이 이루어져야 하고 시급히 정착되어야 한다고. 학교장이 의지를 갖고 움직이면 교육을 살릴 수 있다고 말한다. 학교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이 학교장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학교장이 움직이지 않으면 그 어느 누구가 아무리 교육을 발전시키려 발버둥쳐도 앞으로 나갈 수 없다고 단언한다.
맞는 말이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을 믿고, 시도교육청은 지역교육청을 믿고, 지역교육청은 학교를 믿어야 한다. 믿지 않고는 교육발전을 도모할 수 없다. 정부에서 학교장을 신뢰하고 학교에 자율권을 주어야 한다. 자율권과 함께 책무성도 부여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자율권을 주었는데 잘못 되었을 경우, 엄정하게 책임을 묻고 도태시켜야 한다.
교육부와 교육청은 말 그대로 지원행정에 충실하여야 한다. 학교를 감시하고 감독하고 간섭하는 귀찮은 존재가 아니라 학교를 도와주는 존재, 학교 입장에서 볼 때 고마운 천사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교육청에서 벌어지는 어처구니 없는 일을 예로 든다. 위에서부터 내려오는 '방학전 장학' 이니 '개학전 장학'이니 하는 것은 지역교육청과 학교 입장에서 볼 때는 해괴망측한 것이라는 것. 엊그제까지 부장교사하다가 도(道) 장학사가 된 햇병아리 장학진이 교육경력 30년 이상된 교감과 교장을 어떻게 지도하냐고 반문한다.
그 학교 실정도 모르면서 하는 이야기는 교사들에게 먹혀들어가지 않는 뜬구름 잡기라는 것이다. 교육청은 방학전, 개학전 일선 학교에서 유의해야 할 일에 대한 지침은 줄 수 있으나 시시콜콜히 현장 간섭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메주알 고주알 내놓아라 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준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 나라 교육을 살리는 길, 쉬운 데 있다. 멀리서 찾을 것이 아니라 가까이서 찾으면 된다. 하부조직을 100% 믿어야 하는 것이다. 교육부부터 시도교육청을 믿고, 지역교육청은 학교를 믿고 그들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학교장에게 학교교육에 대한 힘을 실어 주어야 한다.
학교도 마찬가지다. 교장은 교감을 믿고 교감에게 힘을 실어주고, 교감은 선생님을 믿고 그들에게 힘을 실어주어야 한다. 믿음이 결여된, 자신감이 없는 사회에선 발전이 있을 수 없다. 피동적으로 움직이게 되면 눈치만 보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되면 창의성은 물건너 간지 오래다.
교육부에게 말하고 싶다. 학교를 믿자. 그리고 학교장에게 힘을 실어주자. 왜? 그것이 교육을 살리는 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