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을 이용하여 교과연구회 세미나에 다녀왔다. 물론 리포터도 회원이다. 이 연구회에서 연수담당을 하고 있다. 1박2일로 진실한 토론과 대화가 이어졌다.
역시 화두는 교원평가 문제였다. 교원들의 관심사임에 틀림없다는 생각을 했다. 대부분 "교원평가는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일반적인 대화를 주고 받았다. 그 중의 어느 교사의 이야기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참고로 그 교사는 서울의 A중학교 교사였고 40대 중반이었다.
교육부에서는 교원평가에 대해 교원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모양이다. 그러나 우리 교원들은 교원평가를 두렵게 생각하지 않는다. 대부분이 평소에 학생들을 열심히 지도하고 잘 가르치고 있기 때문이다. 평가를 위해 1년에 1-2회, 아니 그보다 더 많은 횟수의 공개수업을 하라고 해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또 잘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로 인해 교원의 전문성이 높아지리라는 기대는 바람직하지 않다. 교원은 원래가 전문직이다. 일반인들이 학생들을 가르친다면 가르치는 기술적인 전문성을 갖추는 데에도 몇 년이 걸릴 것이다. 거기에 가르치기 위한 지식의 습득까지 포함하면 더 많은 기간을 필요로 할 것이다. 현직교원들은 이들 두 가지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그것을 기초로 지금도 열심히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 것이다. 전혀 두려워할 이유가 없다.
교원평가를 통해서 공교육을 정상화 한다고 하는데, 교원평가를 한다고 해서 정상화 되지 않는다. 공교육이 정상화 되지 않는 이유는 다른 데에 있다. 교육에 대한 투자의 부족이다. 선거 때만 되면 GNP 몇 %를 확보한다고 공약을 내걸기 일쑤다. 그러나 지켜지지 않는다. 교육의 중요성 때문에 공약을 내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대의 투자가 최대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최대한 투자를 했음에도 공교육이 살아나지 않으면 이 책임을 우리 교원들이 질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에서는 책임을 질 수도 없을 뿐 아니라, 교원평가를 받아들이기 어렵다. 일방적인 평가가 교원의 전문성을 살릴 수 없고 공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없다. 선행조건 없이 무조건적인 평가는 반대한다.
이야기를 듣는 도중에 누구하나 다른 발언을 하지 않았으며 모두가 공감하면서 침묵이 이어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