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충북 음성의 한 초등학교에서 과학 수업 도중 폭발사고가 발생해 학생 7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학생들은 화산 폭발의 원리를 배우기 위해 중크롬산 나트륨과 알코올을 모래 속에 넣고 불을 붙이는 순간 갑자기 폭발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번의 사고말고도 단순한 찰과상을 입는 경우도 있고, 학생이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과학실험 도중의 사고 위험은 항상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로 갈수록 그 위험성은 더 높아지게 된다.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실험의 수준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사용되는 약품이나 기구들도 다양해 지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에서의 과학실험은 간단한 실험일지라도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학교 2학년 과정의 부정합모형만들기 실험의 경우는 준비물이 칼과 고무찰흙뿐이다. 그래도 사고는 일어날 수 있다. 칼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고무찰흙을 자르기 위해서는 칼날이 날카로운 것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학생들과 실험하기 가장 어려운 것(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것)은 불을 사용하는 실험이다. 이번의 사고도 불을 사용하는 실험이었다. 대략 실험에 사용하는 불의 원료는 알코올이나 부탄가스가 대부분이다. 사전에 학생들에게 주의사항을 충분히 전달하지만 학생들 모두가 그 주의사항을 충실히 지키지는 않는다. 교사가 잠시만 소홀히 해도 학생들은 어느틈엔가 위험에 접근해 있다.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각종 실험기구 사용법과 안전수칙 등을 철저히 연수를 통해 교육을 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과학수업을 할 때뿐 아니라 수시로 안전수칙을 교육하여 '안전불감증'을 갖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키도록 해야 한다는 뜻이다.
또한 교과서 집필진들은 현실에 맞고 위험성이 적은 실험을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요즈음은 교과서를 여러 종류 중에서 학교 나름대로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내용이라도 다른 방법과 다른 약품을 사용하여 실험하도록 구성된 경우가 많다. 교과서를 많이 채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렇더라도 집필진은 위험성을 고려하여 교과서를 집필해야 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교과서를 이용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안전하게 실험을 진행해야 하는 것은 교사의 몫이다. 교실수업보다 실험실 수업에서는 두 배, 세 배의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결국은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그것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잠시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