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서울시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서술형평가, 본래 목적은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하기 위한 것이다. 서술형평가를 실시한다고 해서 이 목적을 달성할수 있을지의 여·부는 확실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는 된다. 다만 이에 대한 문제점은 반드시 보완되어야 한다. 그동안 지적된 문제보다는 새롭게 느끼는 문제점을 지적해 보고자 한다.
첫째는 학생들의 답안작성이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1-2줄로 서술하면 끝날 문제를 서술형 문제라는 것 때문에 필요이상으로 답안을 길게 작성하고 있는 것이다. 즉 이전의 단답형 주관식은 아니더라도 문장을 길게 답할 이유가 전혀 없음에도 학생들은 답안을 길게 작성하고 있다. 이렇게 답안을 길게 작성하다보니, 정답을 진술하고도 필요없는 내용을 진술함으로써 해당문항의 만점을 받지 못하고 부분점수를 받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두번째는 채점 후 학생들에게 본인의 답안을 확인시키는 과정이다.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문제 때문에 학생들에게 답안지를 나누어주고 확인하지는 않는다. 학급에 교사가 입실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확인하도록 한다. 즉 번호대로 학생들이 앞으로 나와서 자신의 답안을 확인하고 이의가 있으면 그 자리에서 이의를 제기한다. 그러면 교사가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여 해당학생에게 통보해 준다. 이것이 무슨 문제냐고 반문할지 모르지만 이렇게 학생들에게 확인하는 시간이 바로 해당교과 수업시간이다. 학급당 인원이 대략 35-40명으로 볼 때 학생 1인당 1분 정도 확인을 하게 되면 45분의 수업시간내내 확인작업을 벌여야 한다.
즉, 이로 인해 서술형 평가를 실시한 과목은 시험끝나고 학급별로 최소한 1시간(45분)의 수업결손을 가져오게 된다.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등의 과목외에도 서술형 평가문항을 출제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시험 끝나고 최소한 학급당 5시간의 수업결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세번째는 미리 시험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서술형평가 공부를 따로 해야 하기 때문에 도저히 감당이 안되어 서술형은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다. 기존의 주관식 출제 때보다는 어려운 점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런 사정으로 미리 포기하는 학생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
이렇게 볼 때 학생들이 서술형 답안 작성시 창의력이 신장되기보다 도리어 창의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 하는 염려가 된다. 즉, 해당 문항의 답안을 간결하게 나타내도 되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답을 쓰지 않도록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답안을 확인하는 과정을 개선하고 이의제기 방법도 좀더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