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망설였다. 이렇게 수준낮은 학부모의 오만방자함에 일일이 대응할 필요가 있느냐는 고민에서다. 그러나 더 큰 고민은 대응하는 사람마저 부끄럽게 만드는 언론의 보도 수준때문이었다.
SBS(청주CJB)에서는 학부모 앞에서 여교사가 무릎을 꿇는 장면을 여과 없이 보도함으로써 양심과 교육적 소신에 따라 학생교육에 열과 성을 다하고 있는 많은 교사들의 자존심과 권위에 큰 상처를 안겨주며 교직사회의 분노를 사고 있다. 교사의 교권이 무참히 무너지는 이 사건은 단지 한 여교사의 아픔이 아니다. 실로 이 땅의 40만 교사들의 소신과 사명감을 일시에 뒤흔들어 놓은 사건으로 결코 그냥 넘어갈 일이 아니다.
그러나 교권을 빌미로 문제의 본질을 호도하고 싶지는 않다. 시간이 흐르면 진실은 언제나 밝혀지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분개하는 것은 학부모의 오만방자함뿐이 아니다. 취재 과정에서 마땅히 지켜야 할 최소한의 윤리의식 조차도 없는 언론의 행태에 분노한다.
민원을 제기한 학부모들은 사전에 자신들의 입장에 서서 지역 방송사 카메라 기자를 동반한 후 교장실에서 충격적인 모습을 촬영하게 했다. 그리고 2명의 기자가 어린 학생들만 있는 교실에까지 들어가 학생들에게 “선생님이 좋으냐”, “뺨을 때렸느냐” 등의 유도성 질문을 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답변 중에서 자신들이 의도하는 답변만을 보도에 인용하는 비겁함을 보였다.
더욱이 언론이 취재를 마치고 돌아간 뒤 해당 학부모들은 “교권을 유린할 의도는 없었다”며 담임교사와 학교 측에 공개 사과하고, 사건을 주도했던 학생의 외조모가 직접 방송국에 전화를 걸어 그동안의 과정을 설명한 후 방송 보도를 하지 말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방송사는 취재를 요청했던 당사자의 말도 무시함은 물론 사후 해결과정은 외면한 채 여과 없이 그대로 지역방송에 보도하고, 이는 곧이어 전국으로 방송됐다.
사실 “교사가 개혁의 걸림돌이다”라는 대통령의 해외 망언 이후 정권의 총애를 받고 싶어 하는 매스컴들은 눈을 휘둥그레 뜨고 교사들의 잘못을 찾아 국민들이 격분할 정도로 과대 포장함으로써 교원집단을 일방적으로 매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 헌법은 개인의 인권과 언론자유라는 기본권을 동시에 보장하고 있다. 또한 그들이 말하는 대로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발 빠른 보도를 통해 경각심을 주는 것 또한 언론의 중요한 순기능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아무리 언론의 비판기능과 국민의 알 권리가 소중하다 할지라도 개인에 대한 언론의 인권침해와 명예훼손 그리고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불러올 만한 비윤리성까지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이 시대적 조류이다.
우리나라 언론의 자유는 아시아에서는 당당히 1위, 전 세계 167개국 중 34위에 해당한다. 그러나 언론의 윤리 수준은 아시아에서만도 7위, 베트남(6위)보다도 낮은 수준임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아무리 말하고 싶어도 말하지 않아야 할 때가 있다. 취재와 보도 윤리의 위반이 가져오는 해악과 그것이 추구하는 사회적 이익, 혹은 사회적 해악의 예방을 비교해 보아야 한다. 더구나 그것이 진실인지 왜곡인지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더욱 그렇다.
언론은 먼저, 사태의 본질에 대해 직접 나서서 정면으로 파헤치기 전에 근거가 부족한 일방의 주장을 중심으로 편파적인 입장에서 취재하고 최소한의 검증과정도 거치지 않은 내용을 여과 없이 서둘러 보도하는데 급급했다. 심지어 시중에 떠도는 악성루머마저 버젓이 기사로 둔갑시키는 ‘만행’도 서슴지 않았다. ‘특종’에 목숨 거는 언론의 행태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SBS(청주CJB)는 해당 여교사의 인권침해는 물론 대부분의 선량한 교원들의 자존심과 권위에 큰 상처를 입힌 보도 행태에 대하여 정중히 사과할 것을 촉구하며, 한국교총에서도 이에 대하여 ‘말로만’이 아닌 ‘행동’으로 강력히 항의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