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실시하는 모든 교육 활동은 종류와 경중을 떠나 그 영향력이 매우 크다. 장차 학생들의 지적 발달과 인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련의 학교 교육과정 속에 '봉사활동'이란 것이 있다. 즉, 현행 중·고등학생들은 각자 1년 동안 학교에서 지정해준 시간과 장소에서 봉사활동을 한 뒤 확인서를 발급 받아 학교에 제출하면, 담임선생님은 그것을 생활기록부 봉사활동란에 누가 기록하게 된다. 대학에선 이를 다시 각 학년별로 20시간을 기준으로 삼아 신입생을 선발할 때 중요한 전형자료로 삼기도 한다.
1995년 교육인적자원부가 5·31교육개혁조치의 일환으로 전국의 중·고등학교에 봉사활동을 도입한 근본 취지는 '성적 지상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지성과 인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한 전인교육을 도모하고자 함'이었다. 아직도 이런 도입 당시의 취지를 그대로 살리고 있다면 이 얼마나 좋은 제도인가. 그러나 지금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봉사활동은 절차와 방법을 비롯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시급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구체적인 사례를 몇 개만 들어보자.
우선 지도하는 선생님이나 현장 책임자 없이 봉사활동을 학생 마음대로 실시하고 확인서를 받아와 제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학교에서 인정하는 시간과 장소라면 누구나 구애 없이 허위로 확인서를 떼거나 시간을 채울 수도 있는 허점이 있는 것이다. 그래도 봉사활동 장소까지 가서 시간을 때우고 오는 학생은 그나마 낳은 편이다. 어떤 경우에는 아예 봉사활동을 하지도 않고 연줄이나 소위 말하는 빽을 동원해 가짜 확인서만 받아 제출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봉사활동을 도입한 원래의 취지를 망각한 채 무조건 점수만 따면 된다는 성적지상주의가 드디어 봉사활동에까지 스며든 것이다.
이는 정말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정직과 원칙을 생명으로 하는 학교 교육에서 오히려 편법과 탈법을 가르치는 상황이 된 것이니 말이다. 가장 정직해야 될 학교에서부터 거짓과 편법을 배우게 된다면 장차 그 아이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우리 사회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를 생각하면 등골이 오싹해진다.
사실 교육 당국이나 학부모들도 이러한 사실을 대충은 알고 있으면서도 뾰족한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는 쉬쉬하면서 덮어둔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하루 빨리 봉사활동에 대한 대대적인 수정·보안작업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각 학교의 담임선생님이나 봉사활동 담당 교사가 반별로 또는 학년별로 나누어 봉사활동 장소와 일시를 지정한 뒤, 학생들을 직접 인솔하여 봉사활동을 시킨 후 그곳 책임자의 확인 도장과 인솔 교사의 날인을 받아 학교에 제출하는 식이다. 이렇게 되면 봉사 활동을 에멜무지로 하거나 또는 하지도 않고 편법으로 확인서만 떼어 내는 사례는 크게 줄어들 것이다.
학교에서 바른 인성과 지성을 교육 받아야할 우리의 순수한 아이들이, 제도상의 허점으로 인해 벌써부터 불법과 탈법, 편법 등에 물들어 가고 또 학부모들은 이를 악용한다면 이는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해서도 매우 불행한 일이다.
우리 모두가 조금만 더 심사숙고하여 봉사활동 제도를 보완하여 원칙대로 운영한다면 정말 아이들에게 양약이 되는 봉사활동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조속한 시일 내에 교육 당국의 꼼꼼한 검토가 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