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놓을 방’에 ‘배울 학’자를 쓰는 ‘방학(放學)’은 말 그대로 ‘잠시 배움을 놓는다’는 뜻이다. 국어사전에도 ‘학교에서 학기나 학년이 끝난 뒤, 또는 더위나 추위가 심한 일정 기간 동안 수업을 쉬는 일, 또는 그 기간’이라고 풀이돼 있다. 하지만 잠시 배움을 놓는다고 해서 무조건 노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숨 쉴 틈 없이 돌아가는 학교생활에서 잠시나마 벗어나 허약해진 체력을 보완하고 모처럼 가족과 오붓한 시간을 보내며 재충전 기회로 삼는다고 보는 편이 옳다.
이처럼 학교 밖 교육활동의 연장선상에 있는 방학이 인문계 고등학교만큼은 예외인 듯싶어 아쉬움이 크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방학을 그리 손꼽아 기다리지 않는다. 어차피 ‘무늬만 방학’이지 학기 중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어쩌면 방학이란 말에서 묻어나오는 느낌 때문에 심리적 박탈감이 더 큰지도 모른다. 그래서 방학 때만 되면 평상시 말을 잘 듣던 녀석들도 괜히 말썽을 부리곤 한다.
7월 중순 방학식을 마치자마자 고3 학생들은 곧바로 다음날부터 자율학습을 하기 위해 등교했다. 어차피 고3은 입시에 저당잡힌 몸인지라 개인적인 시간을 갖겠다는 생각은 애당초 기대도 하지 않는다.
한 문제라도 더 맞혀야 하는 치열한 입시 전쟁에서 대오 이탈은 곧 패배로 연결된다는 통념을 외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고3은 그렇다쳐도 아직 여유가 있는 고1, 2도 사정이 나은 편은 아니다. 보충수업이 시작되기 전까지 병아리 눈곱만큼 쉴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긴 하나 그마저도 충분치는 않다. 1, 2학년 아이들이 며칠 숨을 고르는 사이 1학기 수시모집에 응시한 고3 아이들을 맡은 선생님들은 휴일도 없이 입시지도에 매달려야 하니 휴가는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다.
고3 학생들 논술지도를 겨우 마치자마자 1, 2학년 보충수업이 시작되었다. 방학 중에 하는 보충수업이라 여유가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학기 중과 마찬가지로 오전 8시까지 등교하여 6시간 동안 수업을 하고 다시 3시간 동안 자율학습을 해야 하루 일과가 끝난다. 20평 남짓한 교실에서 서른 다섯 명의 학생들은 더위와 탁한 공기, 그리고 밀려드는 잠을 참아내느라 안간힘을 다한다.
선생님들의 처지도 나을 바 없다. 연수나 대학원 수강 등 갖가지 사정으로 빠진 동료 선생님들의 공백을 메워야 하기 때문에 남은 선생님들의 수업 시수는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니 6시간 수업에 자율학습까지 떠안는 경우가 허다하다. 게다가 담임을 맡고 있으면 더위로 지친 아이들을 어르고 달래는 것은 물론이고 자율학습 감독까지 맡아야 하니 몸이 열 개라도 부족하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이 땅에 뿌리박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라면 모순덩어리 방학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니 말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학부모들의 요청에 따라 밤 늦게까지 자율학습을 하는 학교도 있다고 한다. 이처럼 입시 경쟁은 거대한 블랙홀과도 같이 교육의 근간인 학교를 송두리째 흔들며 인성교육의 기본적 장치인 방학마저 집어삼켰다.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골인 지점을 앞둔 마라토너처럼 헐떡거리며 달려온 여름방학, 겨우 보충수업을 끝내자마자 기승을 부리던 폭염도 언제 그랬냐는 듯 한 풀 꺾였다. 방학이 시작되기 전, 아이들과 약속했던 가족여행도 끝내 지키지 못했다. 오늘이 개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