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공립 초,중학교 교장의 약 9할 정도가 「20년 전에 비교해 가정의 교육력이 저하되고 있다」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장래, 학력 격차는 더 커진다」라고 전망된다는 사실이 8월 29일, 도쿄대학 기초학력연구개발센터의 전국 조사에서 밝혀졌다. 「교육개혁이 너무 빨라서 현장을 따라갈 수 없다」라고 느끼는 교장도 9할에 달하고 있어, 개혁에 발맞추기 어렵다는 현장의 소리는 남의 나라이야기만 아닌 것 같다.
이 조사는 지난 달부터 이번 달에 걸쳐 전국의 초중학교의 약 3분의 1에 달한 18,000개교를 대상으로 행해져 회답율은 약 4할 정도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의 학력이 20년 전에 비교해 저하되었다」라고 보는 견해가 초등학교서 42%, 중학교 57%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의 76%, 중학교의 65%가 「아이를 가르치기 어렵게 되었다」라고 응답했다.
교육의 장해 요인으로서「가정에서의 기본적인 예절의 부족」을 들고 있으며, 「특히 교육력이 없는 가정이 있다」라고 한 교장이 초,중학교 모두 9할을 넘고 있으며, 약 7할은 「보호자의 이기적인 요구」도 지적했다. 한편, 「학급당 학생수」나 「교사의 지도력 부족」을 장해 요인으로 거론한 교장이 4할 정도였다.
이러한 현상에, 정부나 자치단체의 교육개혁이 이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라고 약 8할 정도의 교장이 현재의 교육개혁에 불만을 나타냈다. 또, 향후 개개인 학생의 학력 격차뿐만이 아니라, 교장의 교장이 9할 은「지역간의 교육 격차도 확대될 것」이라고 하는 견해와 더불어 위기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조사를 정리한 도쿄대학의 카네코 교육학 연구과장은「오늘날 학교에 기대되는 것이 너무 많은데다, 여러 가지 교육개혁을 요구 받은 학교 현장에서 상당한 혼란이 있음을 알 수 있지만, 이같은 조사를 학교장 자신이 어떤 역할을 완수해야할 것인가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종합 견해를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