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1학기 대학 입시가 끝나고 3학년 중간고사를 치루는 시기가 바로 다가오게 된다. 수시 1학기에 합격한 학생들에게 중간고사는 아예 뒷전이다. 중간고사를 치루는 데도 아니 마치는 종이 울렸는데도 답안지를 작성하지 않고 계속 자고 있는 학생이 있고, 마치는 종이 울려 답지를 거두자 그때서야 일어나 겨우 반, 번, 이름을 써 답지를 제출하는 아이러니가 나타나곤 한다.
아직도 대수능 시험을 보려고 하면 약 두 달 정도 남았고, 졸업을 하려면 다섯 달 정도가 남아 있다. 수시 합격자는 수업 시간에는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선생님의 충고에는 아랑곳하지 않는 태도는 마치 절대군주를 연상케 할 정도다. 교육청에서는 수시 합격생 지도를 위한 계획을 작성해 지도하라고 하지만 지도할 교사도 시간도 만들어내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내년에도 수시 1학기가 완전히 폐지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니 걱정만 앞서는 것을 신문고로만 호소해야 할까?
수시 합격자, 각 대학에서 프로그램 마련해야
수시 합격자를 위한 일선 학교의 문제점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첫째는 수시 합격을 위해 과도하게 각 대학에 원서를 내는 지나친 과소비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금 추세로 보면 각 대학이 신입생이 부족해서 야단인데 일선 고등학교에서는 학생을 합격시키기 위해 각 대학에 여러 장의 원서를 제출하는 아이러니가 발생되고 있다. 수시 학기가 없다면 학생들의 과소비를 그나마 줄일 수 있을 텐데, 오히려 교육부의 잘못된 정책 탓으로 인한 것 때문인지 사교육비 줄이라는 상급기관이 수시 학기에 학생들에게 사교육비를 부추기는 결과가 되고 만 꼴이 아닌가 싶다.
둘째, 수시 합격생이 학업에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이 문제다. 그렇다고 이들만을 위한 취합반을 만들어 교육시키고자 하나 작은 시골 학교에서는 이들을 담당할 교사도 부족하고 이들을 담당할 특별 경비도 마련되지 않아 이래저래 3학년 진학을 맡고 있는 교사들로서는 고민이 아닐 수 없다. 그래도 학내에서, 지역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교장선생님의 훈화와 교감선생님의 훈화, 지역 기관장의 자진 협조 등이 전부라고 하면 전부다.
셋째, 교육부나 교육청 그리고 일선 학교는 수시 합격자를 어떻게 지도할 것인지 큰 테두리를 제시하지 못한 채 우유부단한 상태에 처해 있는 것 같다. 그렇기에 각 학교가 처한 입장이 다르듯이 비담임 교사가 많은 학교야 그나마 지도할 수 있는 교사가 있을 수는 있으나 그렇지 않는 학교의 경우는 교사 부족에 교실 부족에 여간 어려운 상황이 아니다.
넷째, 가장 큰 문제는 수시 합격생이 늘어남에 따라 수업에 관심을 갖는 학생이 적어지는 도미노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수시 합격자는 수업 시간에 잠만 잘 뿐 다른 어떤 것을 하고자 하는 동기가 없어 시간만 때우는 수업이 계속되고 있다. 게다가 방과후학교 시간에는 수시 합격자가 귀가함에 따라 거기에 덩달아 귀가해 버리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어 학생 지도에 여전히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머리를 단정히 깎도록 지도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것도 “이제는 대학생이다”하는 이미지를 풍겨내고 있어 교사들의 고충은 더 가중되고 있다.
수시 학기 대수능 이후로
만약 수시 학기가 한 번만 시행될 경우 대수능 이후 한달 정도를 수시 학기로 정하게 되면 지금과 같은 수업 부재를 막을 수도 있고 대학 선택에 있어 학생의 편의도 보장될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대수능 시험을 11월 초에 치루고 결과를 12월 말에 발표하면 수시 학기를 무난하게 치루어 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수시 학기가 1·2차로 나누어 계속된다든가 수시 1학기가 폐지되고 수시 2학기만 계속되어도 지금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려면 각 대학은 최저 학력 등급을 입시생에게 요구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될 경우 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결손이 줄어들 수 있고, 수시 합격자에 대한 대책을 만들기 위해 고3 담임은 헛된 시간을 소비하지 않아도 될 것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