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시행되는 통합논술에 대한 관심이 학부모나 학생뿐만 아니라 일선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충남교육청에서는 교사들의 논술지도능력의 함양을 위하여 유명 강사를 초빙하여 연중 다양한 형태의 직무연수를 시행하고 있다. 필자도 강사 제의를 받아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교사라 하더라도 논술을 잘 모르거나 설령 알고 있어도 지도하는 것 자체를 부담스럽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이는 논술이 해박한 지식과 뛰어난 글솜씨가 필요하다고 여기는 데서 오는 선입견 탓이다. 그러니 해마다 입시철만 되면 아예 외부강사에게 논술지도를 일임하는 학교도 있다. 그렇지만 2008년도 입시부터는 논술지도 교사가 따로 없다. 모든 교과를 아우르는 논술(일명 통합논술)시험이 치러지기 때문이다.
논술 강의를 나갈 때마다 선생님들의 열의에 놀랄 때가 많다. 과거 같으면 국어나 사회 과목을 맡은 선생님들이 연수에 참여하는 경우가 태반이었으나 이제는 과목을 불문하고 다양한 교과의 선생님들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고등학교에서는 입시 ‘열외과목’이라 불리는 음악, 체육, 미술 선생님까지도 논술 연수에 참여할 정도로 관심이 높다. 통합논술이 교사들에게 공부하지 않고는 가르칠 수 없다는 절박한 의식을 불러일으킨 셈이다.
현장에서 학생들의 논술 지도를 맡고 있는 교사로서 또 교사들의 논술 연수를 담당하고 있는 강사로서 내년부터 시행될 통합논술이 공교육 정상화에 일정 부분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공교육이 더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바탕으로 몇 가지 문제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첫째, 통합논술의 개념과 성격 그리고 시행 방법을 정확히 알리는 홍보가 아직 미약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학생이나 학부모 심지어 교사들까지도 기존의 논술시험에 교과적인 요소가 더 가미되는 정도로만 알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학교는 통합논술에 대하여 관심이 높지만 실제로는 어떻게 준비할지를 몰라 대부분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주요대학의 통합논술 예시문항을 살펴보면 고교교육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수준이 높다는 점이다. 논술시험을 치르는 주요 대학입시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합논술이 교과 영역 간에 전이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라고 설명하지만 그 성격이 애매하고 실제로 일부 대학의 문제를 보면 교사나 학원강사도 까다로워 할 정도로 난해한 경우가 있다.
셋째,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논술을 준비하려면 개별 교과가 제안하는 여러 가지 학습활동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협력학습이 이뤄져야 하나 교육과정상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드러난 예시문항을 보면 개별 교과 지식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교과의 지식을 연계하기 위하여 한 교실에서 여러 과목의 교사들이 함께 논술을 가르치는 ‘팀티칭’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이는 이상적인 대안에 머무를 공산이 크다.
통합논술은 내년부터 시행되지만 사실은 지난 1학기 수시모집부터 시행됐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방식대로 준비하고 시험을 치른 수험생들은 이구동성으로 시험의 성격이 달라졌다며 불평을 늘어놓는 것을 보면 아마도 통합논술 시행을 앞두고 있는 대학들이 실험적인 문제를 출제하지 않았나 싶다. 사정이 그렇다면 일선 고교의 사정은 고려하지 않은 채 대학측이 지나치게 앞서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주요 대학이 내년부터 논술 반영 비율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등급화되는 내신과 수능의 변별력 저하를 논술로 대체하려는 의도는 충분히 이해하고 또 그 방향도 맞다고 본다. 또한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고교교육을 유도하겠다는 점도 설득력이 있다. 그렇지만 일선 고교에서 효율적인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어려울 정도로 문제 수준이 지나치게 높다면 이는 ‘공교육 살리기’가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사교육 편들기’라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