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총이 최근 국가청소년위원회와 공동으로 「1388 교사지원단」을 구축한 것은 위기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위대한’ 결단으로 크게 환영받을 일이다. 이는 교사가 학교 내 위기청소년을 발견하여 청소년(상담)지원센터로 바로 연계함으로써 청소년 문제에 대한 공동 대처, 상호 홍보 협조하는 체제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본다.
지난 15일 충북도교육청에서도 복교생 및 학교에서 탈락할 위기에 처한 청소년들을 상담하고 선도하는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지역 청소년상담센터와 협력하여 위기청소년들을 위한 멘토가 1명씩 배정됨으로써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기청소년(youths at risk)’이란 ‘학교와 가정생활에서 실패해 성인이 된 후 사회에 온전히 기여하기 힘든 청소년’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사회로부터 버려지거나 방치된 아이들’ 이다. 최근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동과 과열된 입시로 말미암아 청소년들은 상대적으로 긴장과 좌절 등 심리적 불안정이 가중되고 또 이를 극복하지 못한 채 비행과 일탈행동을 저질러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기도 한다.
위기청소년은 세계 각국의 공통된 고민거리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실제로 청소년위원회(
http://youth.go.kr)의 통계에 따르면 가출청소년이 매년 10만 명에 이르고, 청소년 범죄가 연 9만7천여 건에 이르는 등 바야흐로 청소년들이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한국청소년개발원(
http://www.youthnet.re.kr)이 내놓은 자료는 더 심각하다. 우리나라에 현재 방치될 경우 심각한 성장상 위기에 직면할 수 있는 이른바 ‘성장위기청소년’이 170만 명으로 이는 전체 청소년의 21.8%에 육박하는 규모다. 더 큰 문제는 이들 5명중 한 명꼴은 가정해체·자살 충동에 노출되어 있으며 지난해만도 청소년 자살자는 무려 2,560명에 이른다고 한다. 가출, 폭력, 학업중단, 성경험 등의 복합적 문제로 성장에 심각한 위기에 노출된 고(高)위기군 청소년도 41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런 위기청소년 증가로 인한 사회적 문제 또한 나날이 확대되는 현실에 비해 청소년위원회와 보건복지부, 교육인적자원부 등 정부부처가 위기청소년 대처에 투입하는 비용은 올해 정부예산의 0.15%(1,206억 원) 수준으로 정부의 위기청소년 지원능력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에게는 민족과 국가의 미래가 달려있다. 따라서 미래의 주인공인 이들이 건전하고 폭넓은 인격을 갖추도록 올바르게 지도하는 일은 당면한 교육적 과제의 하나이다.
따라서 지금이야말로 가정, 지역사회의 사각지대는 물론 학교 안에 잠재되어 있거나 학교를 벗어나려는 위기청소년을 발견하여 치유하는 체계 구축이 시급한 시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청소년 위기상황 인식과 극복 방안에 관련하여 한국교총이 국가청소년위원회와 손잡고 「1388 교사지원단」 구축한 것은 실로 ‘위대한’ 결단이며 그 가시적인 성과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