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10월 13일 한겨레 신문에 발표한 “ ‘2006 논술교육현장’ 풍경 ”이란 기사에서 논술을 학교에서 가르칠 수 없다는 조사는 정봉주 열린 우리당 의원실에서 공개한 내용이다. 결과를 보면 고교생 51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다. 여기서 71.5%가 불가능이라고 대답했고, 어느 정도 가능은 26.5%에 지나지 않고, 충분히 가능하다는 1.1%에 지나지 않았다. 김흥교 열린 우리당 의원실에서 초·중·고 학생과 학부모 1670명을 전화로 설문 조사한 결과 논술은 학원에서 한다가 49.9%이고, 집에서 방문 교사에게 14.6%이고, 논술 사교육 안하다는 29.7%에 지나지 않았다. 나머지는 인터넷이나 잡지를 통해 할 뿐이라고 나타나 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한다면 공교육에 있어 사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일선 고등학교에서 교사들은 논술에 능력이 없거나, 교육부가 논술 교육에 대한 대비책도 없이 일부 대학에서 논술 평가로 신입생을 선발하게 한 것은 교육부가 사교육을 부채질 하고 있으면서 또 한편으로는 공교육에 대한 허상을 풍자하는 양상이 되고 있다.
작문 교육의 어제와 오늘
작문 과목은 학생들로 하여금 글쓰기 연습을 하는 시간이다. 써 놓은 글을 보면 글의 형식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는 느낌을 받을 정도다. 문장은 비문으로 얼룩지고, 글의 구성과 초안 작성조차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글은 어릴 때부터 써 보는 습관에서부터 나타난다. 옛 초등학교 시절 선생님이 방학 숙제로 일기를 써 오라고 한 것은 바로 논술의 기초를 다지는 토대였다. 그것이 현재는 학생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한다고 아우성이라 그것도 없어지고 말았다.
심지어는 방학책 조차도 없애자고 하여 방학책이 없는 지역도 있다. 부모에게 편지를 써 보는 일도 없이 전화나 메일로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으니 편리하기는 하지만 그것에 따라 나오는 다양한 인간의 EQ는 어느 사이엔가 사라지고, 학교에서 제시한 논술 과제는 학원에서 배운 기계같은 글씨가 천편일률적이다. 글을 어떻게 써야 할 지 모르는 것도 4지 선다형과 5지 선다형 중심으로 시험을 치룬 결과인지도 모른다. 알아야만 쓸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몰라도 알아도 답을 쓸 수 있는 한국 교육의 현주소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대학입학시험에서 소위 명문대라고 하는 곳에서만 논술 과목을 도입하고 있어 일선학교에서는 논술 지도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큰 학교에서는 진학반이 학생의 수준에 따라 만들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학교에서는 소수의 학생을 위해 논술을 지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또 이들을 지도할 뚜렷한 명분이 다른 학생들에게는 차별 대우로 비춰질 수 있어 학내 갈등조차 유발하곤 한다. 2009학년도부터 논술이 대학마다 도입되고 있어 논술에 대한 사교육 붐이 물결처럼 일어날 전망이다. 명문대를 가야 하기보다는 이제는 필수로 등장하게 되는 2009학년도 수험생을 둔 학부모는 학원으로, 개인 과외로 자녀 교육에 관심을 쏟을 것이 당연지사가 될 것이 아닌가.
그런데 일선 학교에서는 논술을 지도할 교사들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는 것도 아니다. 통합논술의 경우는 특히 더하다. 하지만 통합 논술 과목은 나누어서 지도할 수 있기에 오히려 일선 학교에서는 편한 느낌이다. 논술을 고등학교에서 지도할 능력 있는 교사가 없다고 한 의도는 어떤 의도에서 조사되었는지 의심스럽다. 논술은 소위 서울 명문대에 나오는 문제를 추리해 내어 가르쳐야 하는 그런 논술을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배우는 것도 아니다.
다만 대학에서 요구하는 답을 쓸 정도의 기초적인 글쓰기를 다지게 되면 논술이란 학생의 추리력과 판단력에 의해서 글을 작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학부모들의 의사에서, 학생들의 의사에서 나타났다고 하는 “학교에서 논술을 가르칠 수 없다”는 것은 학교 교사의 능력을 과소평가한 결과라고 할 수밖에 없다.
논술 교사 따로 없다
논술은 누구나 할 수 있어야 한다. 말 그대로 글을 쓰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국어 교사는 글을 잘 쓰고 예체능 교사는 글을 못 쓰는 것이라고 하는 발상은 잘못된 것이다. 통합논술이 나온 것도 인문사회계열에만 해당하는 글이 논술이 아니고, 자연이공계열에 해당하는 것도 논술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과목에 상관없이 논술을 가르쳐야 하고 논술을 가르치는 교사도 정해져 있어야 하는 생각은 바뀌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