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통해 “담임과 진학상담 안해요”라는 기사를 읽고 난 후 곰곰이 생각해 보면 우리 교육이 얼마나 잘못되어 가고 있는가를 느끼게 한다. 고3 학생들은 대학 진학 지도를 담임 선생님과 하는 것이 아니라 진학 컨설팅 회사에 비용을 주고 정보를 받아 자기가 가고자 하는 대학에 원서를 내고 있다고 하는 사실이 인터넷에 실리는 등. 교사는 점점 교단에서는 투명 인간으로 학생들에게 비춰지는 실정이고, 10월 24일에는 경남 창원 모 고등학교에서 남학생이 흡연지도를 하는 여교사를 때려 교사가 상처를 입고 입원한 사례며, 25일에는 광명시에서 동료 여자친구를 가두어 놓고 때리고 심지어는 옷을 벗기고 사진을 찍었다는 보도는 학생 중심 교육이 만들어 낸 7차 교육과정의 성과물인지 되묻고 싶다.
인성 교육 실패는 7차 교육과정의 결과물
시대가 변하면 사람도 변한다. 그에 따라 인간 교육도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교육에 대해 “한국교육신문”에 e-리포터님의 다양한 글이 실려 있기는 하지만 “교육은 이것이다” 하고 단언하기에는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교육은 인간에 따라 체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어디에다 잣대를 대어야 성공할 수 있다하는 확신을 갖기는 어렵다. 교육 정책으로 나온 7차 교육과정은 변화하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이라는 면에서는 좋다. 하지만 수요자 중심으로 이끌어 가는 교육이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질적 교육보다는 양적 교육에 맞추어 질적 교육을 한 꼴이 되고 말았다.
인성의 실패를 단적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학생의 교사 구타 사건이 7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부쩍 늘어나고 있는 느낌이지만, 그것이 반복되어 일어난다는 면에서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한 번 일어난 사건이 고쳐지지 않고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그에 대한 대비책을 교육부도 교육청도 학교도 세우지도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는 학생으로부터 불이익을 당해도 하소연하지 못하고 학생은 교사로부터 회초리 한 대만 맞아도 인터넷으로 투서로 교사를 곤경에 빠지게 하는 것은 7차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인성의 실패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우리 교육의 정체성 찾기 운동을 일으켜 교사의 위상을 바로 세우고 학생으로서의 바람직한 자세를 갖추는 정풍운동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동시에 교사는 자신이 맡은 분야에서 학생들을 잘 가르칠 수 있는 만반의 태세를 갖추는 자세도 잊지 말아야 한다. 고3 학생이 담임을 외면하고 컨설팅 회사를 찾아 다니면서 입시 상담을 하여 대학에 들어가는 그릇된 사고가 확산된다면 오늘의 교육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비록 이 컨설팅 회사의 정보가 일부 신빙성이 있었다 하더라도 그것에는 항상 상술이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교사는 자기관리에 몰두해야
김수영의 시 “껍데기는 가라”는 독재권력자들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지만 오늘날 교육계에 대비시켜 생각해 보면 껍데기 교사에게는 비난과 비판의 목소리 외는 받을 것이 없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변화하는 시대에 높아만 가는 학생들의 지적 수준과 다변화되어 가는 지식의 욕구를 추출해내는 작업도 오늘의 교사들의 몫이다. 인터넷 꼭두각시 역할을 하는 정도의 교사는 항상 학생으로부터 외면당하고 동시에 시대의 돌풍도 맞이하게 된다는 것도 현직 교사들에게 또 다른 짐으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