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학년도 대입전형의 핵심 요소인 통합논술을 두고 교육현장뿐만 아니라 학부모 더 나아가 사회적인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통합논술이 ‘변형된 본고사’라는 주장과 함께 가뜩이나 내신과 수능 준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더 큰 부담을 얹어준 것은 물론이고 사교육 의존도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예측이 난무하는 등 그야말로 교육 난맥에 휩싸여 있다.
일선 교사들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당장 수능이 끝난 뒤부터 예비 고3이 되는 2학년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다는 불만섞인 목소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기본적으로 통합논술을 통하여 구현해야 할 교육목표와 방안이 수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학생 선발과 관련된 평가 기능에만 집중함으로써 학교를 더욱 혼란에 빠트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서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의미있는 모임이 이뤄졌다.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등 전국 23개 대학 입학처장과 18개 고교 진학담당 교사로 구성된 ‘고교-대학간 대학입학관계자 상호협의회’ 출범식이 열렸다. 필자도 협의회 위원으로 위촉받아 교사 대표로 모임에 참여할 수 있었다. 고교와 대학의 입학 관계자가 한 자리에 모여 전형 요소를 놓고 상호 의견을 교환하는 것은 입시 사상 처음있는 일이었다.
행사를 주관한 대교협 측의 안내에 따라 간단하게 출범식을 마치고 박제남 인하대 입학처장의 사회로 비공개 회의에 들어갔다. 사실 고교와 대학의 처한 상황과 입장이 달라 의견이 첨예하게 부딪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상대방을 존중하면서 사교육의 위세를 잠재우고 공교육을 부양하여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이라는 대의를 이룩하기 위하여 서로 협조를 구하는 분위기였다.
어차피 교육 당국이 삼불정책의 기조를 유지하는 한, 대부분의 대학이 변별력이 약화되는 내신과 수능을 중심으로 옥석을 가리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점에서 통합논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다만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교의 사정을 감안하기로 했다. 그런 점에서 가능하면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문제 출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대학측이 출제 유형, 취지, 난이도 등을 조속한 시일 내에 공개하고 논술 출제시 고교 교사들이 출제 또는 검토위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또한 대학이 앞장서서 낙후 지역 고교를 방문하여 논술 특강, 모의고사 시행 등의 방법으로 논술 학습방법을 지원하기로 했다.
토론의 분위기가 무르익어가며 일선 현장의 대처 방법도 자세하게 소개되었다. 교사들이 앞장서서 논술 연수에 참여하거나 학부모를 초빙하여 설명회를 개최하는 학교도 있었다. 통합논술이 지향하는 교육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관행처럼 굳어진 주입식, 암기식, 일체식 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에서 학생 중심의 수업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고교도 감지되었다. 통합논술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선 고교의 사정을 감안하여 1개월에 한 번씩 예시문항을 공개하여 대학교수들이 직접 첨삭지도를 해 주고 있는 대학의 사례도 소개되었다.
이날 토론에 참여한 고교나 대학 대표들은 몇 가지 사안에 대해서는 의견을 같이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으나,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한 사안(연구비 지원, 교사용 지도서 개편 등)에 대해서는 한계를 느낄 수밖에 없었다. 그런 면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논의를 위하여 차후 회의에서는 교육 정책 담당자도 함께 참여하기를 제안한다.
고교와 대학의 입학 관계자들은 치열한 입시 경쟁의 야전사령관 격이라 할 수 있다. 저마다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상황속에서 의견을 조율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았지만, 서로 마음을 털어놓고 대화를 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일단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하고 싶다. 다만 이와같은 모임이 1회용 홍보행사에 그칠 것이 아니라, 당초 출범의 취지에 맞게 모임을 정례화하여 흔들리는 교육을 반석위에 올려놓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