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9일 저녁 9시. MBC TV 뉴스에 의하면 대학에서는 학년에 관계없이 학과에 관계없이 고시에 열중하고 있다고 한다. 방학이 되면 고등학교를 졸업한 제자들이 찾아오곤 한다. 그럴 때면 간혹 제자들에게 어떻게 대학 생활을 하느냐고 물어 보면 고시를 준비한다는 말을 하곤 했다. IMF가 스치고 간 이후 한국 사회는 직업에 대한 의식이 한층 강해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사범대가 그렇게 인기를 누리지 못했는데 하늘 모르게 경쟁률은 높아만 가고 있고, 취업이 잘 된다고 하면 전문대나 4년제 대학이나 경쟁률이 치솟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라 할지라도 금융위기를 맞본 한국의 청소년들에게는 철통같은 직업에 대한 부러움이 그 무엇보다도 소중하게 여겨지고 있다.
취업만 잘 되면 대학 전공은 “묻지 마” 선택
일선 고등학교에서 대학 진학을 담당하다 보면 한국의 대학의 실태를 그나마 알 수 있는 길이 트인다. 게다가 교수신문을 들여다 볼 때면 한국에 소재한 대학의 흐름과 교수들의 동정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입시철이 되면 일선 고교를 찾아오는 대학 교수들의 신입생 유치 태도는 한 마디로 “묻지 마”이다. 과도 전공도 능력도 필요 없다. 인원수만 채워다오 하는 마음을 남기고 떠나는 대학 교수들의 뒷모습이 “심청전”에 등장하는 떠돌이 장사치들이 항해에 제물로 바칠 처녀를 사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조차 들 때가 많다. 장사치들은 자신의 항해에 위험한 곳을 피하기 위해 한 여자만 사면된다는 생각만 하지 팔려가는 처녀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이처럼 한국 사회의 일부 대학들이 신입생 유치에 문제점을 안고 있으면서도 그 명맥을 유지하기 위해서만 몸부림칠 뿐 생산적인 활로를 찾아나서는 데는 아직도 묘연하기만 하다.
대학에 진학하는 고 3학년생들의 입장은 어떠한가? 이들은 오직 서울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여름밤 불빛을 향해 달려드는 불나방처럼, 오로지 한 곳만을 향해 달려가는 입시생들의 치열한 경쟁 심리는 미래를 개척하겠다는 굳은 의지로 가득 차 있다. 이들의 눈망울은 한국 사회를 개혁하여 세계의 무대에서도 당당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들은 무엇을 향해서 달려가고 있는가? 오로지 생존에 필요한 재화가 많은 곳을 행해 달려가고 있다는 것이 우리를 슬프게 만들고 있을 뿐이다. 재화가 적은 곳이라도 얼마든지 생존에 하자가 없을 것 같은 데도 재화가 많은 곳만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것이 한국 사회의 오랜 관존민비 사상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부모들이 자녀를 이끌어 가는 데 있어 근시안적 시고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인지.
대학은 많고 학생은 적다 보니 대학의 비리가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다. 조선시대 양반의 수가 많다 보니 국가에서는 양반에게 줄 녹봉이 부족하자 과거제도를 시행해 과거에 합격한 자에게만 녹봉을 주었다. 이러다 보니 과거 시험을 출제하는 지공거라는 벼슬아치와 짜고 과거 시험에 부정을 통해서라도 합격하여 벼슬을 얻고자 하였듯이, 지금의 입시도 조선의 양반 과거제와 다를 바 있는가? 취업이 잘 되는 곳에 합격하지 못하면 직업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이 되기에 학생들은 전공도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학과도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인문계열을 공부한 학생이 이공계열을 지원하기도 하고 반대로 이공계열을 공부한 학생이 인문계열을 선택하기도 하는 현상도 요즘 통합식 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이 진정 무엇을 행해 계열을 바꾸는 것인지 생각의 여지를 갖게 한다.
리모델링은 한국 교육의 시험대
서울의 대형서점에서나 지방의 소형 서점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책은 요즘 초등학생 논술 문제집이다. 언제부터인지 시중에 초등학생 논술이 등장하였다. 그것도 2008학년도부터 대학에 논술 시험이 중요하게 취급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부터라고 하니 입시에 대한 감각은 한국 사회의 천석고황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유비무한의 정신이 한국인에게 아무리 높다고는 하나 그것이 지나친 근시안적 사고에 무사안일주의가 도사리고 있는 한, 한국 교육은 새 리모델링을 통해서 기존의 틀을 벗어나야 한다. 교육에 대한 열풍이 국가 백년대계를 위한 쪽이라면, 그것은 자랑할 만한 것이나 그렇지 않고 그것이 개인의 이기주의나 출세의 발판으로 행해지는 한, 고시 열풍과 입시 열풍은 찬바람 부는 겨울철의 추위를 능가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