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우리학교 교감선생님이 날마다 붙잡고 씨름하는 일이 하나있다. 부장회의 때마다 열띤 토론을 벌이는 것이기도 하다. 학교에 설치되어 운영중인 각종 위원회 이야기이다. 이 위원회가 한때는 학교평가의 중요한 지표이기도 했었다. 각종위원회의 설치 여·부와 그것의 충실한 운영 여·부가 평가점수를 잘 받느냐 못 받느냐를 결정지었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때문에 일선학교에서는 조금만 필요해도 각종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현재 일선학교에는 대략 20여개 이상의 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현재 우리학교에 설치된 각종위원회의 현황을 보면 학교운영위원회는 기본이고, 교육과정위원회, 학업성적관리위원회, 부장협의회, 교과협의회, 학년협의회,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학생복지위원회, 정보공개위원회, 교육분쟁조정위원회, 인사자문위원회, 기초학력 부진학생 책임지도 위원회, 학력신장추진위원회, 주5일제 추진위원회, 교내자율장학위원회, 학교혁신위워원회, 학생포상심의위원회, 체벌없는 학교만들기 추진위원회, 교복선정위원회, 도서관 운영위원회, 성회롱·성폭력 심의위원회, 교내 자율장학위원회, 학생지도위원회, 기자재 선정위원회, 과학교구 선정위원회, 봉사활동추진위원회, 학력신장추진위원회, 교과목이수인정평가위원회등 30여개에 이르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교사들은 최소 2-3개의 위원회 위원이다. 아무런 위원회에도 소속되지 않은 교사는 당연히 한명도 없다. 교감은 사정이 더 심각하다. 대부분 위원회의 위원장이기 때문이다. 교장도 교감보다는 사정이 덜하지만 여러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다. 학교에 근무하면서 위원회 위원의 감투를 쓰지 않고 있다면 정말 존경할 만하다. 학교평가에서 각종위원회 설치 여·부가 점수에 반영되었으니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 서울시교육청에서 이런 각종위원회를 10여개 내·외로 줄이라는 지침이 내려왔다. 즉 통폐합을 하라는 것인데, 위원회를 만드는 것도 어렵지만 통폐합하는 것은 더욱더 어렵다. 교감선생님이 날마다 씨름하고 부장회의때마다 대책을 세우기 위해 토론이 벌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현재 우리학교는 어느정도 통합을 완료한 상태이다. 서서히 시간을 두고 검토하면 된다고 생각하겠지만 그렇지 않다. 올해 교육계획서에 포함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사정이다.
언제는 각종위원회를 설치하여 활성화하라고 정책적으로 권장하더니 이제와서는 그 많은 위원회를 통폐합하라고 하니 정말 정책의 일관성이 있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최근에 새로생긴 위원회만 하더라고 학교혁신위원회, 학력신장 추진위원회, 체벌없는 학교만들기 추진위원회등이 있다. 시교육청의 중점사업이 무엇이냐에 따라 학교에 위원회 설치를 요구했었다. 그런데 이제는 통폐합하여 그수를 줄이라니 어떻게 이런일이 있을 수 있는가. 교육청에서는 그냥 줄이라고 지침을 내리면 그만이지만 그 위원회를 줄이기 위해서 학교가 겪어야 할 고통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여러번 회의를 거쳐도 쉽게 결론이 나지 않는다.
쉽게 결론이 나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다. 나중에라도 학교평가나 종합장학, 감사 등에서 위원회 설치와 관련한 검증이 이루어질 수 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교육청의 지침에 충실히 따랐지만 교육감이 바뀌거나 정책추진의 방향이 변하기라도 한다면 학교는 그냥 앉아서 당할 수 밖에 없기 때문다. 최소한 기본은 살려 두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학교의 입장이기도 하다. 정책의 일관성은 어떤 일이 있어도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락가락 하는 정책때문에 고통을 받는 것은 일선학교이며, 이로인해 학생과 학부모가 피해를 볼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