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국·공립대총장협의회(회장 정석종 전남대총장)는 18일 전주 리베라호텔에서 열린 회의에서 정부의 획기적인 지방대학 육성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총장들은 ▲공공요금 및 강사료의 국비 지원 확대 ▲연구과제 선정 시 대학 이행 사항 축소 또는 폐지 ▲간접 연구경비 지급비율 확대 ▲학생 충원 위한 지원 확대 ▲이공계 학생 유치방안 등을 교육부에 건의키로 했다.
서울대등을 제외한 전국의 16개 국·공립대 총장들은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지방대학들이 속출하고, 신입생 충원율이 70%가 되지 못하는 대학들이 30곳을 넘는 상황"이라며 "정부의 재정 지원 및 제도 보완이 절실하다"고 촉구했다
총장들은 강사료와 공공요금을 정부가 전폭적으로 지원해 줄 것을 건의했다. 대학의 전임교원 확보율이 64.3%에 불과해 시간강사 의존율이 높지만 정부의 예산지원이 부족해 기성회계에서 부족액을 보전해 왔으나 최근 수년간 등록금이 동결되다시피 해, 기성회계에 의한 보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총장협의회는 또 "해마다 공공요금이 인상되는 가운데 대학시설 증축과 전산기기 증가로 공공요금 지출은 급증하고 있으나, 기성회계에 의한 보전이 불가능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교육부가 모든 연구비 지원 기관의 연구비 선정 시 연구 대응 투자금 등 대학이행사항을 요구하고 있어, 국공립대학의 재정부담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지난 3월 해소방안을 건의했으나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총장들은, 대응자금 투자 부분을 축소 또는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
총장들은 간접 연구 경비 비율이 5∼10%에 지나지 않아 교수들의 연구지원을 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란 실정이라며 "간접 연구비 지원 비율을 20%로 상향조정해 줄 것"도 함께 요구했다.
총장협의회는 이공계 진학 기피 현상은 제조업에서 서비스산업으로 구조개편이 근본 원인이지만, 변호사등의 전문직종에 비하여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지위와 사업여건이 열악한 것도 주된 원인이라며 "대학입학 전형 시 인문계열 및 자연계열의 교자 지원 제한 또는 이공계 지원자에게 가산점 부여, 정부의 이공계 학생 육성 및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