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도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자유분방한 교육이 점차 확산되면서 좋은 점도 있지만 점차 자기 관리가 허술해진 면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활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엄격한 체험학습을 통한 자기관리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방학을 맞이하여 아이들은 절 글방에서 새로운 체험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아이들은 숙제를 한 뒤에는, 마음껏 몸을 움직이고 나서 간식을 먹고, 마지막에 절 본당에서 정좌를 한다. 이는 고가시에 있는 어느 방과 후 스쿨「절 글방의 어린이 숲」의 일정이다. 어린이들이 보여주는 동과 정의 두 가지 표정이 둘 다 사랑스럽다.
이 절 글방은, 보장사 주지스님(49세)이 2004년 4월에 개설한 것이다. 처음 년도는 20명 정도로 출발하였는데 해마다 늘어나, 금년도는 초등학교 1~4학년까지의 37명이, 월~금요일 방과 후에 주지스님이 소형버스로 학교까지 데리러 가서 절에 인접한 교실에 모인다. 자치단체 등이 운영하는 학동보육과 형태는 비슷하지만 입학 조건이 있다.「식사예절을 가르친다.」,「나쁜 짓을 했을 때 꾸중을 하고, 꿀밤도 먹인다」,「정좌시간도 있다.」등 이다. 모두 주지스님이 「어린이들의 풍부한 마음을 키우기 위해서 필요하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써 사전에 학부형에게 설명하고 납득한 경우에만 아이들을 받아들인다.
간식 시간에 나오는 것은 전병이나 쿠키가 2,3개 정도이다. 먹기 전과 후에는「한 톨의 쌀에도 만인의 힘이 들어 있습니다.」,「몸을 기르고 마음을 바르게 하여, 모든 은혜에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외치고 합장한다. 「먹을 양만큼만 먹고 남기지 않는다」,「생명이 있는 것을 먹는 것에 감사한다.」라고 하는 마땅한 것을 당연히 몸에 익혀지게 하기 위해서라고 말한다.
어린이들의 집단 활동 중에는 싸움이 되거나, 장난을 치거나, 자기 멋대로 돌아다니는 아이도 많다. 주지스님은 그럴 때에 주저하지 않고「네 이놈」하고 호통을 치거나, 때로는 주먹으로 어린이의 머리를 누른다. 그 때의 모습은 최근에는 볼 수 없게 된 옛날의 「옆집 호랑이 아저씨」이다. 한편, 호통을 친 뒤에는 상냥한 목소리로「왜 야단맞았는지 알겠니?」라고 물어 보고, 어린이의 변명도 들어보고 최후에는 어린이들이 납득할 때까지 설득한다.
몇 번이라도 반복함으로써, 어린이는 결국은 자제를 배우게 된다는 것이다. 또, 주지스님은 놀이 시간에 반드시 어린이들 속에 들어가서, 함께 총싸움이나 공놀이, 술래잡기 등을 한다.「어른이 몸으로 부딪혀 커뮤니케이션을 하면, 반드시 마음은 어린이들에게 와 닿는다.」라고 주지 스님은 이야기한다. 해질 무렵에는 본당에서 10~20분 정도 정좌를 하고, 하루의 자신의 행동을 돌이켜 본다. 주지스님도 승려의 얼굴이 되어 불경을 손에 들고 어린이들을 지켜본다.「마음이 차분해 지면, 다른 사람의 이야기도 열심히 듣게 된다.」라고 말한다. 막 왔을 때는, 1분도 가만히 못 있었던 아이가 1년이 되면 몇 분이라도 할 수 있게 된다. 옛날 그대로의 절 글방식의 수업이, 학교와 가정교육에서 결여된 부분을 메워주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