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학교 현장에서 2006년도에 학교에 등교 거부를 한 중학생의 비율은 35명당 1명으로 2·86%(전년도 대비 0·11포인트 증가)로 과거 최고가 된 사실이 문부과학성의 학교 기본 조사로 밝혀졌다. 부등교의 조사는 모든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1991년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한 학급에 한 명 정도의 부등교의 학생이 있다는 계산이며, 동성에서는「집단 괴롭힘으로 인하여 자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괴롭힘을 당한다면 학교에 가지 않아도 괜찮다」라고 생각하는 보호자가 증가한 것도 한 요인」이라고 보고 있다.
작년도에, 병이나 경제적 이유 이외로 연간 30일 이상 결석한「부등교」의 초,등중학생은 전년도 대비 약 4500명 증가한 총 12만 6764명으로 5년만에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중학생은 전년도보다 약 3400명 증가해 10만 2940명이 되어 부등교의 학생이 차지하는 비율도 10년 전의 60명당 한 명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초,중학생이 등교를 거부한 계기가 된 것으로 가장 많았던 것은「무기력이나 비행 등」이 4만 6320명이며, 「괴롭힘」은 합계 4688명(중학생 3929명, 초등 학생 759명)이었다.
동성이 도도부현별 부등교가 증가한 이유를 분석한 바에 의하면, 여러 자치단체가「자살에 몰릴 정도라면 학교에 가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보호자가 증가했다」,「학교 카운셀러가 왕따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선택사항으로 부등교를 권하게 되었다」라고 회답했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한 듯 민간의 프리스쿨 등의 새로운 있을 곳이 태어나고 있기도 한다. 자방자치단체가 설치한「교육지원센터」는 전국에 1164나 곳이며, 민간의 프리스쿨은 500여 곳이나 된다. 아동, 보호자의 의식도「학교는 반드시 다녀야 할 장소는 아니다」라고 바뀌고 있다.
그러나, 옛날이나 지금이나 학교는 가정이나 지역과 함께 아이의 성장을 지원하는 중요한 존재인 것에는 변함이 없다. 모든 아이들이 자유롭게 보낼 수 있는 학교를 만들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하여 교육 현장에만 맡기지 말고 국민적인 논의를 야기해야 한다는 것이 일본 국민들이 교육을 바라보는 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