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

  • 구름조금동두천 10.2℃
  • 흐림강릉 7.7℃
  • 구름많음서울 10.4℃
  • 구름조금대전 10.6℃
  • 구름조금대구 9.7℃
  • 구름많음울산 12.3℃
  • 구름많음광주 9.4℃
  • 구름많음부산 15.5℃
  • 맑음고창 10.2℃
  • 흐림제주 12.0℃
  • 맑음강화 9.2℃
  • 구름조금보은 8.8℃
  • 구름조금금산 8.8℃
  • 맑음강진군 12.0℃
  • 구름많음경주시 10.0℃
  • 맑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교육계의 부끄러운 자화상

 2007년 9월 25일 모 일간지에 “교육부, 공무원 비위 진정민원 최다”라는 기사가 실려 있다. 지난 2004년 이후 소속 공무원에 대한 비위 진정민원이 가장 많았던 부처는 교육부라고 당당하게 발표한 기사는 교육자의 눈에 어떻게 비춰질 수 있을까?

24일 국회 행정자치위 소속 한나라당 김정권 의원에게 제출한 `최근 4년간 부처별 공무원 비위관련 진정민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4년부터 2007년 현재까지 접수된 134건의 공무원 비위 관련 민원 가운데 교육부에 대한 민원이 22건(45명)으로 가장 많았다. 따지고 보면 1년에 5건 정도의 수치에 지나지 않으나 한 건 한 건의 강도가 어떠하냐가 문제다.

교육자는 고운 양심이 일등이어야

교육자로서 현장을 지켜가면서 교육부의 사건 사고를 지켜보아도 참으로 어이없는 일이 많이 일어난다고 할 때가 많다. 교육 국장이 인허가에 관련되어 파면되는 보도를 들을 때면 교육자이기에 부정을 저질러서는 안 된다는 것에 주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교육부의 수장에 가까운 자리에 있으면 그래도 조심은 해야 할 것인데 하는 마음에. 안타까울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민주 사회에서 어느 부서고 간에 부정 없는 곳이야 어디 있겠느냐만은 부정은 또 다른 부정을 잉태하게 하는 도미노 이론을 형성시켜 준다는 것이 슬플 따름이다. 교육자의 비리를 왜 그토록 우리 시회에서는 크게 보도하느냐도 따지고 보면 교육에 대한 사회인의 신성한 이미지를 무시할 수 없다는 반증은 아닐까?

우리 사회의 교육의 장이 그래도 살아 있는 물꼬를 트고 있다는 것은 한국 사회의 부정과 불의를 정화시켜 가는 장소가 되기 때문이요, 교육에 대한 이미지와 교육자에 대한 이미지를 그래도 다른 직종과는 달리 깨끗하게 보려고 하는 것은 학부모들의 신선한 눈이 늘 살아있는 교육에 관심을 갖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교육자의 양심이 권력의 양심으로 살아 있는 한 교육자의 마음에는 출세로 인한 안락과 돈으로 인한 향락만이 풍겨날 뿐이다. 교실에서 나는 비속어가 판치고 복도를 오가면서 내뱉는 학생들의 비속어는 이제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교육이 썩고 병들었다고 단정만 할 일도 아니다.

교육의 책임자는 교육부 장관이 지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교육감이 지는 것도 아니다. 이들은 교실을 지켜가는 한 교사 한 교사의 전체적인 양식을 대변할 뿐이다. 진정한 교육의 선구자는 매 수업 시간을 이끌어 가는 현장 교사의 마음이다. 어떻게 이 어려운 상황을 헤쳐 갈 것인가를 다시금 생각하고 또 다시 명상에 잠겨보는 시도를 하는 것도 교실 수업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할 일이다. 한 교사의 마음이 색안경을 쓰고 학생을 보는 순간부터 교실 수업은 학생은 나의 페이를 지불해 주는 매체에 지나지 않고 나는 이들을 방패로 하여 살아가는 꼭두각시에 지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교육의 비리는 선비 정신을 지켜가는 교사의 투철한 사명감이 막는다

맑은 물에는 큰 고기가 놀지 않는다. 사람이 지나치게 깨끗하면 사람이 붙지 않는다. 등등의 말을 되새겨 보면 맑은 물에 놀고 있기에 오염되지 않아 병들지 않고, 사람이 지나치게 깨끗하기에 사람이 붙지 않는다고는 하나 그 자의 뒤에는 항상 정의의 군도들이 따르고 있는 것이 세상이치가 아니껬는가?  교사가 깨끗한 마음을 가지고 생활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지 학부모가 성의 표시로 제공해 주는 과일을 어느 날 하나를 먹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맑고 밝은 교육자의 양심은 언제나 반짝거리는 냇가의 조약돌처럼 뽐내는 것이 아니라 깊은 산중에 묵은 바위처럼 묵묵히 자기의 자리를 지켜가는 초연함에서 나오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